대통령선거는 끝났고, 지방선거는 시작됐다. 대선은 정권교체와 정치교체 사이에서 절묘한 결과를 낳았다. 국민들의 선택은 언제나 균형 있고 현명했다. 윤석열 당선인의 야단법석한 환호도, 이재명 후보의 완전한 절망도 아니었다. 윤 당선인과 국민의힘은 국정 운영의 무거운 과제와 무한 책임에 직면했다. 이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은 진지한 반성과 풀어야 할 숙제를 떠안게 됐다. 작금의 현실을 보면 윤 당선인이 축제의 샴페인에 마냥 취해 있을 상황은 아니다.
지방은 고사 직전이고, 자영업자와 영세 상공인들은 코로나에 피폐해졌다. 부동산과 물가, 수출입 등 경제상황이 결코 녹록지 않다.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중의 첨예한 대립 등 국내외 정세도 혼돈 그 자체다.
국민들의 절반은 윤 당선인이 산적한 국내외 현안들을 제대로 풀어낼 수 있을지 걱정하고 있다.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민들은 측근 정치 대신 안민(安民) 정치, 분열과 혐오 대신 협치와 통합의 정치를 주문하고 있다.
정치 검찰이나 이른바 '윤핵관'에 둘러싸이고 휘둘리는 측근 정치는 경계 대상 1호다. 이들의 역할과 효용은 대선 당일까지로 종료돼야 한다. 이준석 대표와 안철수 대표의 갈등이나 나눠 먹기식 권력 다툼도 국민의힘과 한국 정치 발전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퇴행만 가져올 뿐이다. 대선 과정에서 논란이 된 영매(무당)나 도사의 그림자가 어른거려서는 더더욱 안 되겠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의 미래보다 지방 권력에만 눈이 멀어 대선 공치사에 바쁜 불나방들도 경계 대상이다. 대선 공치사보다 지역 발전에 대한 청사진과 로드맵을 제대로 제시할 능력과 실천력을 갖춘 인물이 공천돼야 하고, 지역민들도 이들을 뽑기 위해 눈을 부릅떠야 하겠다.
윤 당선인이 스스로 주창한 것처럼 진정 '국민들이 불러낸 대통령 후보'라면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민심을 보듬는 안민 정치에 나설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코로나와 부동산, 일자리로 힘들고 지친 민심을 달래는 것이 급선무다. 권력 집중, 중앙집중화를 분산하고 누그러뜨리는 일도 주요 과제다. 특히 수도권 집중, 지방 소멸 현상은 갈수록 심화하는 중차대한 문제다.
법무부 장관의 지휘권을 박탈하고 민정수석을 배제한 대통령의 검찰 직할 통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대통령이 무소불위의 검찰 권력을 다른 기관을 통해 견제하기보다 독점하고픈 유혹에 빠질 수 있다는 얘기다. 안민 정치와 함께 통합과 협치의 정치도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분열과 갈라치기는 혐오와 분노만 낳을 뿐이다.
여성가족부 폐지 등 정치공학적 이유로 남녀를 갈라치기한 정책들도 선거가 끝난 만큼 재고해야 마땅하다. 여소야대 형국을 앞두고 거대 야당의 협조 없이는 어떤 입법도 한 발짝도 나갈 수 없는 만큼 야당과의 협치를 끌어내는 정치력을 발휘할 때다. 이를 위해서는 진영을 가리지 않는 탕평인사와 우격다짐이 아닌 대화와 타협의 자세가 전제돼야 하겠다.
윤 당선인이 측근 정치에 매몰될 것인지, 절반을 위한 정치를 할 것인지, 성별과 세대와 지역을 가리지 않는 안민 정치를 할 것인지 시험대에 올랐다. 측근 정치에만 매달린다면 또다시 국민들의 엄중한 심판대에 오를 수밖에 없다. 절반만을 위한 정치도 분열과 반목을 낳아 결코 나라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을 터다. 윤 당선인이 안민 정치를 통해 성공한 대통령의 길로 나가길 진정 바란다. 탄핵의 촛불이 다시 횃불이 아니라, 절망과 어둠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 민심을 비추기를 소망해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