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기업 10곳 중 6곳은 차기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가 경제 재도약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일까지 국내 매출 상위 1천대 기업 가운데 157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기업 95곳(60.5%)이 이같이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어 사회갈등 조정(17.2%), 정치 개혁(12.1%), 외교·남북관계 안정(5.7%), 문화 융성(1.9%) 등도 해결 과제로 꼽혔다. 경제재도약을 통한 일자리창출을 차기정부 중점 추진 정책과제라고 응답한 기업은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사업으로는 미래성장산업 육성 지원(28.3%)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기업투자 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27.5%), 기존 제조업 경쟁력 강화(20.5%) 등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기업들은 규제 완화 과제와 관련해서는 투자·사업별 맞춤형 규제 완화(35.2%)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그다음은 노동규제 완화(25.8%), 준조세 부담 완화(15.0%),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제 시스템 전환(13.6%) 등이었다.
개선을 희망하는 경제법률에 대한 질문에는 중대재해처벌법(37.8%)과 최저임금법(32.4%)을 많이 꼽았다. 중대재해처벌법의 경우 처벌 규정 완화 등을 원했으며, 최저임금법에 대해서는 산정방식 보완 등을 요구했다.
차기 정부가 중점적으로 지원해야할 신산업에 대해서는 인공지능(AI)이라는 응답이 23.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자율차 등 미래자동차(20.3%),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16.9%), 바이오·헬스(14.7%), 로봇(8.7%), 수소산업(8.2%), 이차전지(5.6%) 등의 순이었다.
기존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는 제조업 디지털화 지원(28.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탄소중립시설 투자 지원 강화(19.5%), 국가전략기술 범위 확대(15.4%),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확산(14.0%) 등의 의견도 있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