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 중 국내 복귀를 의미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고려하는 기업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2년새 크게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지난달 17∼24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가운데 105개사를 상대로 올해 국내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조사 결과 해외 진출 제조·서비스 기능의 국내 복귀를 의미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현재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27.8%에 달했다.
이는 2020년 5월 전경련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당시 3.0%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9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향후 정부 지원·국내 경영환경이 개선될 경우 리쇼어링 검토가 가능하다는 답변도 29.2%나 됐다. 결과적으로 기업 10곳 중 6곳(57.0%)이 리쇼어링 추진이 가능하다는 의사를 보인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기간 글로벌 공급망 불안 심화로 인한 생산 차질과 물류비 증가, 미·중 갈등 장기화 등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리쇼어링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는 가속화될 수 있다. 현재는 해외 사업장 양도 폐쇄 후 2년 안에 국내 사업을 신·증설해야 세금감면 등 유턴 기업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윤 당선인은 이 시한을 3년으로 늘리는 것과 함께 보조금 확대, 추가 파격적 감세 조치 등을 약속했다.
기업들은 리쇼어링 촉진을 위한 3대 과제로는 기업 규제환경 개선(35.3%), 세제감면 확대(29.5%), 보조금 지원 강화(17.6%)를 꼽았다.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한 3대 정책 과제로는 규제 완화(30.1%), 세제지원 확대(26.8%), 내수 활성화 및 소비 진작(13.6%) 등이 꼽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원자재가격 고공행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투자를 주저하고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국내 복귀 수요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새 정부는 기업의 국내 투자를 유인하고 리쇼어링을 촉진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세제지원 확대 등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