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퇴임을 앞두고 전직 대통령들의 '셀프 수여' 논란을 빚은 무궁화대훈장을 받게 될 전망이다.
1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6월 한국조폐공사에 의뢰해 무궁화대훈장 두 세트를 제작했다.
무궁화대훈장은 상훈법상 국내 최고의 훈장으로 대통령과 우방 원수나 그 배우자, 또는 우리나라의 발전과 안전보장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전직 우방 원수 등에게 수여한다.
제작비는 한 세트에 6천823만7천원씩 총 1억3천647만4천원의 예산이 들었다. 제작기간은 지난해 6월 30일부터 9월 6일까지로 2달 넘게 걸렸다.
무궁화대훈장은 대통령만 받을 수 있다 보니 그동안 '셀프 수여'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상훈법은 무궁화대훈장에 대해 "우리나라의 최고 훈장으로서 대통령에게 수여하며 대통령의 배우자, 우방원수 및 그 배우자 등에게 수여할 수 있다"고 돼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르기까지는 취임과 동시에 이 훈장을 받았다. 문민정부 이전까지는 신임 대통령이 훈장을 패용하고 취임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이던 2003년 초 인수위를 통해 "5년간의 공적과 노고에 대해 국민에게 치하받는 의미에서 퇴임과 함께 받는 것이 타당하다"며 받는 시점을 임기 말로 처음 바꿨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같은 이유로 수훈을 미루다가 임기를 마무리하는 2013년 초 국무회의를 거쳐 훈장을 받았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사흘째인 2013년 2월 27일 무궁화대훈장을 받았다.
정치권에서는 '셀프 수여'를 놓고 매번 반발하고 있어 이번에도 비판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노무현 전 대통령 수여 당시 한나라당은 "집안잔치를 하느냐"고 비꼬았고, 이명박 전 대통령 수여 때는 당시 민주통합당이 "뻔뻔함이 금메달감"이라며 비판했다.
다만 행안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셀프 수여' 논란과 관련 "재고 관리 차원에서 지난해 6월 무궁화대훈장 제작을 의뢰한 것"이라며 "아직 청와대에서 어떤 지침도 없는 상황이라 누가 무궁화대훈장을 받게 될지, 시기나 절차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