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중기의 필름통]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감독 박동훈)는 수학을 소재로 한 어느 탈북자의 이야기다. 입시 지옥이 펼쳐지는 원더랜드에 이상한 나라에서 온 수학자라, 다분히 한국적인 소재다.

영화의 주인공은 고교 1학년 한지우(김동휘). 그는 '사배자'(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으로 자사고에 입학했다. 대한민국 상위 1%가 갈 수 있는 학교. 1학년이지만 벌써 3학년 과목을 선행 학습하고 있다. 그러나 비싼 과외를 받지 못한 지우는 늘 수학 성적이 하위를 맴돈다. 그러다 우연히 만난 학교의 야간 경비원 인민군(최민식)을 통해 수학을 배우기 시작한다.

영화의 전반부는 긴장감 넘친다. 생기가 돈다. 시원한 딸기 우유처럼 향긋하고 입가에 웃음을 머물게 한다.

그것은 설정과 캐릭터 구축이 훌륭했다는 이야기다. 지우는 가난하지만 착한 아이다. 기숙사 룸메이트의 강요로 술을 반입했다가 들키지만 끝내 친구들의 이름을 불지 않는 의로운 학생이다. 그러나 학교는 그가 있을 곳이 아니었다. 담임(박병은)은 일반고 전학을 권한다. 지우를 위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퇴출이었다. 계층을 나누는 사회 계급화가 가혹하게 자행되는 것이다. 문제가 오류여도 답만 맞추면 된다는 식이다. 이상한 나라다. 그가 힘차게 뿌리내려 휩쓸리지 않아야 한다. 누군가 이 아이를 제대로 가르칠 지원군은 없는 것일까.

전혀 새로울 것이 없는 설정이다. 지우가 겪는 가혹한 입시지옥의 현장은 드라마나 영화에서 익숙하게 등장해 왔다. 그러나 인민군이 등장하면서 영화는 마치 무협소설 속 영웅의 탄생기처럼 흥미로워진다. 인민군은 학교의 경비원으로 탈북자라서 붙여진 별명이다. 알고 보니 그는 북한 최고의 수학천재였다.

둘은 이상한 나라를 살고 있고, 이상한 나라에서 온 인물이다. 정답만 알면 된다는 담임과 시험지를 유출해서라도 성적만 올리면 된다는 아이들이 보기에 이상하기 짝이 없는 사람들이다. 영화는 누가 더 이상한 지를 보자며 이야기를 풀어낸다. 그리고 꺼내놓은 비기(祕記)가 수학이다.

인민군은 지우에게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은 신비로운 수학의 세계를 보여준다. 수학은 정답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풀이,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원주율 파이(π)에 음가를 붙여 연주를 하면서 수학의 아름다움을 얘기하고, 끝까지 문제를 풀어내는 끈기와 용기를 불어넣어 준다. 영화는 딱딱한 수학공부의 원칙을 통해 인생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둘은 아버지와 아들처럼 끈끈한 인간적 관계가 이뤄진다. 딱딱했던 수학에서 아름다움과 인생의 담론을 꺼내고, 휴머니즘까지 구축한다.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는 '수포자'(수학 포기자)가 봐도 수학의 개념 원리를 잘 이해시킨다. 이과의 무기에서 문과의 서정성까지 끌어낸 것이다. 1988년 '쉬리' 이후 24년 만에 최민식 배우가 북한 말투 배역으로 출연해, 무뚝뚝하지만 속내가 깊은 인물을 잘 소화한다. 25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캐스팅된 지우 역의 김동휘도 내면 깊은 연기를 보여준다.

그러나 중반을 넘어서면서 영화는 뜬금없이 클리셰 가득한 서사로 선회한다. 지우에게서 인민군 이학성(최민식)에게로 넘어가면서 벌어지는 일이다. 그의 행적과 이력은 적을 필요도 없이 여러분이 상상하는 것들이리라. 리만 가설에 국정원까지 등장하면서 그 사이 구축해 놓은 서사가 무너지기 시작한다. '님아 제발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전반부와 후반부의 각본가가 다르다 싶을 정도로 영화는 다른 길을 간다. 상징성과 현실성을 지닌 설정들이 개연성 없는 판타지로 변해버린다. 강박에 가까운 신파의 길을 가버린 것이다. 이학성을 왜 증명하려고 해? 그는 지우에게 무림의 경지를 가르치는 은둔 사범이면 될 것을 왜 동굴 밖으로 끌어내 수심과 주름이 깊은 얼굴을 드러내게 할까. 왜 공감할 수 없는 그의 아픔을 들춰내야 했을까.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는 흥행에 목을 매는 창작자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안타깝기 짝이 없는 영화다. 만족할 만한 엔딩은 이미 지우라는 캐릭터 속에 움트고 생명력 있게 자라고 있었다. 그가 수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지닌 갈등의 극복이고, 10대들에게 과도하게 짐을 지운 시대의 비극을 이겨내는 것이다. 누구나 공감하는 우리의 이야기다.

영화 제목의 '이상한 나라'는 충분히 중의적이다. 체제 유지를 위해 수학을 이용하는 이상한 나라이기도 하지만, 그를 품은 여기 또한 이상한 나라인 것은 마찬가지다. 제목은 그런 문제의식을 가늠케 한다.

그러나 영화는 이를 포기하고, 이상한 나라를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으로 한정하면서 스스로 손발을 잘라 버린다. '굿 윌 헌팅'에서 갑자기 윌(맷 데이먼)이 사라지고, 숀(로빈 윌리엄스)이 차를 타고 가면서 영화가 끝나버리는 것을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흥행을 증명하기 위해 마치 동시에 발작증세를 일으키는 환자 같다. 영화는 수학이 아니잖아. 왜 증명하려고 해? 117분. 12세 이상 관람가.

영화평론가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의 한 장면. ㈜쇼박스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