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2024년까지 하수 처리 전 과정에 스마트 관리 시스템 적용

정부 시범 사업에 4개 분야 선정…ICT 기술 접목한 실시간 감시·제어 가능

스마트하수도 관리체계 구축 선도사업. 대구시 제공.
스마트하수도 관리체계 구축 선도사업. 대구시 제공.

오는 2024년까지 대구시내 하수 처리 전 과정에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하수도 관리체계가 구축된다.

대구시는 한국판 그린뉴딜 과제 중 하나인 '스마트하수도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에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4개 전 분야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스마트 하수처리장과 스마트 하수관로, 스마트 하수관로(도시침수 대응, 하수악취), 하수도 자산관리 등 4개 분야로 추진되며 국비 463억 원 등 총 사업비 674억 원이 투입된다.

스마트 하수처리장 구축사업으로는 45억원을 들여 안심하수처리장에 ICT계측장비를 설치하고, 실시간 감시제어와 빅데이터 기반 운용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스마트 하수관로 사업은 도시침수대응, 하수악취 관리 등 2개 분야로 나눠 추진된다.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 사업은 국지성 호우 등 기후 변화에 따른 피해를 ICT 기술을 활용해 줄이는 게 목적이다.

사업비 381억원을 투입, 하수관로와 하수맨홀에 실시간 하수량 측정이 가능한 수위측정시스템 설치해 침수 피해를 예방한다.

시범 사업 대상은 침수 우려지역으로 꼽히는 북구(산격·침산)와 동구(해안·방촌) 지역이다. 강수 초기 오염물질이 섞인 고농도 빗물에도 오수가 넘쳐 수질 저하가 우려되는 신천 변 일부 하수 방류 시설(우수토실)에도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스마트 하수악취 관리사업은 ICT 기반의 악취측정장비를 활용해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악취저감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하수악취 민원이 잦은 신천 좌안 합류식 하수처리구역인 남구 및 달서구 일대에 구축되며 사업비 228억원이 투입된다.

현풍하수처리장에는 시설물의 잔존수명 예측과 시설 개량수요 분석이 가능한 스마트 하수도 자산 관리사업이 진행된다.

지난 2009년 가동을 시작한 현풍하수처리장은 타 시설보다 비교적 사용 기간이 짧아 내부 설비의 관리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시범운영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대구시내 전역에 스마트하수도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하수도 분야에 ICT 기술 도입되면 물 분야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물산업 경쟁력 강화로 신성장 동력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