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전투표 부실·아들 특혜 논란' 김세환 선관위 사무총장 사의 "모두 제 잘못"

임기 7개월 남기고 사퇴 "책임 통감, 머리 숙여 사죄"
아들 지역선관위 이직·승진 특혜 논란도 작용한 듯

김세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7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세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7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세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장관급)이 코로나19 확진·격리자의 대선 사전투표 부실 관리 사태와 관련해 16일 사의를 표명했다.

김 사무총장은 이날 중앙선관위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이번 대선에서 발생한 확진자 등 사전투표 부실 관리 사태와 관련해 사무총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다시 한 번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최일선에서 땀과 눈물로 대선을 관리해주신 직원 여러분의 열정과 노고에 다시 한 번 감사와 사죄를 드린다. 이번 사태의 모든 책임을 지고 사무총장직에서 물러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코로나 폭증으로 인한 어렵고 힘든 여건에서도 직원 여러분께서는 최선을 다해 선거관리에 임해 주셨지만 모두 저의 잘못으로 이번 사태가 초래됐다"면서 "실행이 어려운 복잡한 지침과 늑장 지시, 일선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한 업무 추진, 소통과 공감이 부족한 권위적인 태도 등으로 현장의 혼란과 어려움을 가중하고 정신적 고통까지 줬다"고 자성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 우리 위원회에 국민적 비난과 질책이 빗발침으로써 혼신의 노력으로 희생을 감수해 준 직원 여러분께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입혔다"고 덧붙였다.

지난 2020년 10월 취임한 김 사무총장은 오는 10월까지 재임하게 돼 있으나 임기를 7개월 남기고 중도 사퇴하게 됐다.

앞서 선관위는 3·9 대선을 앞두고 이달 5일 진행된 코로나19 확진·격리자의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으로 거센 비판을 받았다.

확진·격리자가 기표한 투표용지를 종이 상자, 플라스틱 소쿠리 등에 담아 옮겼고, 확진자 투표 인원 예측에도 실패해 확진자들이 장시간 투표장에서 대기하는 문제도 발생했다.

이에 야당을 중심으로 노영희 중앙선관위원장의 책임론이 강하게 불거졌다.

김 사무총장은 사전투표 다음 날인 이달 6일 중앙선관위를 항의 방문한 국민의힘 의원들과 만나 "확진자들이 직접 투표함에 넣겠다고 '난동'을 부리다 인쇄된 투표용지를 두고 간 것 같다"는 발언으로 비판을 사기도 했다.

국민의힘의 사퇴 압박을 받아온 노 위원장도 오는 17일 위원회의에서 거취 관련 입장을 밝힐지 관심이 쏠린다.

아울러 지방선거 대비를 강조하던 김 사무총장이 돌연 사퇴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선 전날 밤 제기된 아들의 선관위 이직·특혜 논란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강화군청에서 일하던 아들 김모 씨는 김 총장이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차관급)이던 지난 2020년 1월 인천시선관위로 이직했다.

김 씨는 이직 6개월 만인 같은 해 7월 7급으로 승진했고 지난 2월에는 중앙선관위가 대선 재외투표소 관리를 위해 꾸린 12명의 미국 출장단에 포함됐다.

중앙선관위는 이직·승진·출장 선발 과정에 특혜는 없었다고 했으나, 내부 게시판에도 아들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 게시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