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가 현 정부의 방역정책과 관련해 "거리두기는 이미 포기한 걸로 본다"며 "충분히 걸릴 만큼 걸려서 이번 유행을 마지막 유행으로 만들고 끝내겠다고 생각을 하는 게 아니면 절대로 이런 방향으로 끌어갈 수 없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교수는 16일 CBS라디오 '한판승부'에 출연해 "의료체계가 붕괴되니 거리두기 강화하라면 현 정권은 (임기가) 끝날 거니까 안 할 거고, 새로운 정권은 욕을 먹어가면서 거리두기 강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금 유행 규모가 커지고 문제가 된다는 걸 질병관리청이 모르겠느냐"며 "그런데 아무리 얘기를 해도 계속 (완화 방향으로) 밀고 가는데, 대통령부터 총리까지 다 똑같은 얘기를 하고 심지어는 보건복지부에 아침마다 브리핑하는 반장까지도 일관되게 이런 식으로 (완화)사인을 내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독감 치명률에 육박하고 있다(고 말하는데) 독감 치명률에 육박한 건 확진자가 너무 많이 발생해서 도달한 거지, 실제 죽는 고위험군에서나 미접종자의 사망률은 독감보다 5~7배 죽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하루에 500명씩 죽어도 몇 주 지나면 지나갈 거니까 (정부에서) 그렇게 보는 것"이라며 "거리두기 조이는 건 얘기도 하고 싶지 않고, 현 체제만 유지만 해 주든지 불확실성을 키우지 말고, 지금이 위기 상황이라고 메시지라도 정확하게 전달하라"고 촉구했다.
이 교수는 "상황이 안 좋으니까 정부가 국민들에게 메시지라도 조심하자고 얘기하면 좋은데 어제만 하더라도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독감 수준 됐다고 하고, 총리는 1급 감염병을 적어도 2급이나 4급으로 낮출 수 있다(고 하더라)"며 "정점이 끝나지 않고 팬데믹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굳이 먼저 꺼낼 필요가 없는 얘기들을 계속 한다"며 재차 정부가 잘못된 신호를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교수는 "젊고 건강한 사람들 그렇게 심하게 안 앓지만 그 사람들 때문에 유행이 커진 상황에서 아이들하고 어른(노인)들한테 옮으면 그들에겐 심각한 상황이 된다"며 "가족 중에 한 분이라도 코로나 때문에 죽은 분이 있으면 그런(완화) 얘기 못 하실 거다. 매일 코로나에 걸려서 죽는 분들을 대면하고 있는 의료진 입장에서는 거의 줄초상"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현 의료체계에 대해서도 "정말 간신히 버티고 있는 상황이고 눈에 안 보이는 사건사고가 엄청나게 터지고 있다"며 "분만을 해야 되는 확진자들이 어디서 분만할지 고민하며 울고, 투석해야 되는 분이 확진돼서 투석 한두 번 거르는 게 다반사다. 수술이나 시술을 받아야 되는 분들이 급한 데도 확진 때문에 미루는 그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차기 정부를 향해 "인수위는 현재의 팬데믹 상황은 현 정부에 맡기시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셔야 한다)"며 "아까 말한 (감염병 등급을) 2급이나 4급으로 바꿀 건지 아니면 우리가 가진 의료체계가 앞으로 이런 새로운 펜데믹이 오더라도 유연하게 버틸 수 있을 만한 구조를 만들 건지, 로드맵을 짜서 예산 배정하는 등 제대로 계획을 만드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