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십만원 들인 'QR인증' 태블릿…이제는 "처치 곤란"

'QR전면 중단' 오락가락 정부 방역정책…"자영업자들에게 비용 전가"

21일 오전 10시쯤 대구 남구 한 프랜차이즈 카페에 사용되지 않은 QR인증용 태블릿이 거치돼 있다. 심헌재 기자
21일 오전 10시쯤 대구 남구 한 프랜차이즈 카페에 사용되지 않은 QR인증용 태블릿이 거치돼 있다. 심헌재 기자

대구 남구에서 프랜차이즈 카페를 운영하는 A(50대) 씨는 'QR코드 전자출입명부'를 작성하기 위해 사뒀던 태블릿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다. 정부가 방역패스를 전면 중단하면서 현재는 필요가 없어 방치해둔 상태다.

A씨는 "당연히 개인적으로 구매했고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도와준 것도 없다. 손실보상금 같은 도움도 받은 것이 없다"며 "현재 거리두기가 조금 완화됐어도 전체적으로 분위기 자체가 침체해 힘든 상황은 계속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소연했다.

출입자 관리를 위해 자영업자들이 수십만원의 자비를 들여 장만한 태블릿PC·스마트폰 단말기 등이 최근 정부의 방역지침 변경으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제도는 지난 2020년 6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추적 등을 목적으로 도입됐다. 지난해 11월에는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도)가 시행되면서 QR코드가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지난 1일부터 정부는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제도를 전면 중단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확진자 폭증으로 방역 환경이 변했다는 이유였다.

자영업자들이 모여있는 인터넷 카페에는 QR코드 인증을 위해 샀던 휴대전화나 태블릿PC에 관한 불만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도 10만원 이하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되파는 사례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남구 대명동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B(40) 씨는 "직원들 교육용 자료로 활용할까 생각 중이긴 하지만 정확히 구체적으로 세운 계획은 없고, 현재는 개인적으로 사용중"이라고 말했다.

시시각각 바뀌는 방역 정책에 피로감을 호소한 자영업자들은 정부가 부담해야 할 방역 비용이 개인에게 전가됐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수성구 시지동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C(30대) 씨는 "계속 바뀌는 거리두기 정책에 화가 너무 많이 난다"며 "결국 정부도 확진자가 폭증해서 해결이 안 되니 방역패스도, 거리두기 정책도 다 바꾼 것인데 그 피해는 자영업자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