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 회동이 기약 없이 늦어지고 갈등의 골이 깊어가는 가운데 윤 당선인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만남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당선인이 조만간 박 전 대통령 사저를 찾겠다는 뜻을 밝힌데다 내주부터 지역 행보에 나서면서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다음 주 지역 순회 일정을 소화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무를 시작한 이래 세 번째 현장 방문이다. 앞서 윤 당선인은 첫 번째로 서울 남대문시장, 두 번째로 울진·강원 동해 화재 피해 현장을 찾았다.
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이 이번에 대구경북을 다니는 가운데 박 전 대통령 사저도 직접 찾아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윤 당선인이 전날 대구 달성 사저에 서일준 인수위 행정실장을 보내 퇴원 축하난을 전달하며 "건강이 허락하신다면 다음 주라도 찾아뵙고 인사드리고 싶다"는 뜻을 전달한데다 직접 "퇴원하시고 사저에 오시길 기다리며 대구경북 방문을 연기해 왔다"는 언급까지 해 이러한 관측에 힘을 싣는다.
물론 박 전 대통령 측에서는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양측 만남과 관련된 메시지가 윤 당선인 측을 통해 공개된 것으로 미뤄볼 때 물밑 조율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이 박 전 대통령과의 만남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을 두고 국정농단 수사 악연의 부담을 털어내고 보수 정통성을 인정받는 한편 박 전 대통령 지지층을 품어 강성 보수층까지 지지 저변을 확대하려는 포석으로 해석한다.
아울러 윤 당선인이 이른바 '윤핵관'(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 대부분이 친이(친이명박)계인 만큼 이들을 넘어 친박(친박근혜)계 인사까지 품으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고 있다.
친박계의 이목이 박 전 대통령 사저로 쏠린 상황에서 윤 당선인이 직접 찾아가 구원(舊怨)을 풀면 정치권에 '현역'으로 뛰는 친박 인사들도 운신의 폭이 넓어져 박 전 대통령도 박대하지 않을 것이며, 결국 양측이 윈윈(win-win)하는 쪽으로 결론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반면 윤 당선인과 박 전 대통령이 회동하더라도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박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에서 배출한 전직 대통령인 만큼 당선인이 인사차 찾아가는 것은 당연히 할 일이라는 설명이다.
보수 정치권 관계자는 "당선자가 현직 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정치 행위'이지만 자당의 전직 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예우의 차원"이라면서 "만약 윤 당선인이 문 대통령 회동에 앞서 박 전 대통령을 만나더라도 인간적인 미안함을 표하는 이상의 이벤트는 어려울 것이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두 사람이 정치적 메시지를 주고받으면 도리어 현 여권 지지층을 결집하게 하는 등 역풍이 불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