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국가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2천조원(2천200조원)을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국민 한명 당 국가부채는 4천만원에 달했다. 국공채・차입금 같은 국가채무로 따지면 1인 당 1천900만원 규모다. 요람에 있든, 요양원에 있든 국민 1명이 2천만원 가까운 빚을 짊어지고 사는 셈이다.
또 초과 세수가 60조원에 달했음에도 코로나19 위기 대응으로 씀씀이가 커지면서 적자 규모가 30조원이나 됐다.
정부는 5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2021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심의·의결했다. 국가결산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세입·세출과 재정, 국가채무 등을 확정하는 절차로 감사원 결산검사를 거쳐 5월 말 국회에 제출된다.
지난해 국가부채는 총 2천196조4천억원이다. 전년 대비 10.8%인 214조7천억원 늘었다. 먼저 국공채·차입금 등 확정부채가 818조2천억원으로 100조6천억원(14.0%) 증가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약 50조원 대의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적극적인 재정 운용으로 국채 발행이 늘어난 탓이다.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등 연금충당부채가 포함된 비확정부채는 1천378조2천억원으로 114조1천억원(9.0%) 증가했다.
국가부채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2천57조4천억원보다 많다. 국가부채가 GDP 규모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우리 경제가 만들어낸 상품·서비스 총합인 국내총생산을 국가부채가 덮어 버렸다.
또 문재인 정부 출범 전인 2016년 말 기준 1천433조1천억원에 견줘보면 무려 53.3%인 763조3천억원 폭증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1천743조7천억원)보다는 452조 8000억원 늘었다.
국가 부채는 정부가 직접 갚아야 할 시기가 정해진 빚(확정부채)에 향후 부담해야 할 연금충당부채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나랏빚이다. 현금주의 회계기준을 적용해 이미 발생한 부채를 보는 국가채무보다 범위가 포괄적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채무를 합산한 국가채무는 지난해 967조2천억원으로 1천조원에 바짝 다가섰다. 지난해 한 해 동안 늘어난 금액이 120조6천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7.0%로 1년 전보다 3.2%포인트(p) 높아졌다.
지난해 통계청 추계인구(5천174만명)으로 나눈 1인당 국가채무는 1천869만원으로 1년 새 236만원 늘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전인 2016년 말의 1천224만원보다는 646만원,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말 1천397만원보다는 472만원 증가했다.
지난해 정부의 총수입은 570조5천억원, 총지출은 600조9천억원으로 통합재정수지는 30조4천억원 적자를 냈다. 2020년(71조2천억원)에 비해 나라살림이 나아졌지만, 세수가 애초 예상보다 61조4천억원이나 더 들어온 점을 감안하면 코로나19 대응 등의 지출 비용이 너무 컸다는 분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