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대구 주택 매매 가격과 전세, 월세 가격이 모두 2월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구 오피스텔의 올 1분기 매매 가격도 전 분기보다 내려갔다.
한국부동산원은 1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결과와 '2022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2년 1분기 통계를 마무리하는 시점은 4월 1일 기준, 전 분기 마무리 시점은 2022년 1월 1일로 잡았다. 이번 조사는 수도권과 지방광역시, 세종시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 가격은 0.02% 올라 전월(0.03%)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서울은 0.01% 떨어져 전월(-0.04%)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고, 지방은 0.07% 오르는 대신 전월(0.08%) 대비 상승 폭은 작아졌다.
3월 대구 주택 매매 가격은 0.43% 떨어져 전월(-0.28%)보다 하락 폭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매물 적체 영향이 지속돼 하락세가 이어진 거라는 게 한국부동산원 측의 분석이다. 광주(0.22%)는 역세권 인근과 중저가 위주, 부산(0.06%)은 정주 여건 개선 기대감이 있는 지역과 중소형 단지 위주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 가격은 0.02% 떨어져 전월(0.00%) 보합에서 하락세로 전환됐다. 서울은 전월과 마찬가지로 0.06% 하락했고, 지방은 0.04% 올라 전월(0.06%)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다.
대구는 전세 가격이 0.49% 하락, 전월(-0.31%)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또 작년 12월 이후 넉 달 연속 하락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신규 입주 물량과 미분양 등의 영향으로 이 같은 상황이 벌어졌다고 풀이했다.
전국 주택종합 월세 가격은 0.14%로 전월(0.13%)보다 상승 폭이 조금 커졌다. 서울은 0.06% 올라 전월(0.07%)보다 상승 폭이 줄었고, 지방은 0.13% 올라 전월(0.12%)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대구는 월세 가격이 0.08% 떨어져 전월(-0.01%)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2022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전국 평균 오피스텔 매매 가격은 전 분기보다 0.12% 올랐다. 전세 가격은 0.34%, 월세 가격은 0.22%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상승 폭은 모두 전 분기(매매 가격 1.03%, 전세 가격 0.84%, 월세 가격 0.44%)보다 축소됐다.
같은 기간 대구 오피스텔 매매 가격은 전 분기보다 0.30% 하락했다. 매매 가격은 지난해 3분기(-0.03%)와 4분기(-0.21%)에 이어 세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다만 전세 가격과 월세 가격은 각각 0.13%씩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대구 경우 아파트 시장 상승세 둔화 등에 따른 거래 위축으로 수요가 감소하고 신규 오피스텔 공급이 증가해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