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초고령사회, 고령 운전자의 위협…'조건부 면허' 가능할까

지난해 대구 교통사고 사망자 77명…18명은 고령 운전이 원인
대구 고령 운전면허 소지자 2019~2021년 3년 만에 17% 증가

고령화로 인해 고령 운전자가 늘면서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 자신을 위협하는 사고가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고령화로 인해 고령 운전자가 늘면서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 자신을 위협하는 사고가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대구에서 고령 운전자가 낸 교통사고로 숨진 사람이 전체 사망자의 23%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운전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가 급증하면서 '조건부 면허제도'가 대안으로 떠오른다.

24일 대구시와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77명으로, 이 가운데 18명이 고령 운전자가 낸 교통사고로 숨졌다.

운전 도중 발생한 돌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기 마련이다. 교통안전공단이 지난 2020년 시행한 실험에서도 60세 이상 고령 운전자는 시속 60km에서 표지판 등 도로 주변 사물을 43.3%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0대 이하 50.1%보다 낮은 수치다. 시속 30~50km 저속에서도 결과는 비슷하다. 다른 연령대보다 주변 사물을 인식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는 걸 의미한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고령 면허 소지자도 급증하는 추세다. 2019년 대구의 65세 이상 고령 운전면허 소지자는 16만3천478명에서 지난해에는 19만1천211명으로 17%나 증가했다.

반면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는 실효성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 반납제는 스스로 운전면허증을 반납한 만 65세 이상 시민에게 10만원 상당의 교통카드를 제공하는 제도를 말한다.

대구의 자진반납 사례는 2019년 5천37명(3.1%), 2020년 4천814명(2.7%), 지난해 5천754명(3.0%)으로 해마다 3%대에 그치고 있다. 이조차도 '장롱면허'를 반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외에서 도입·시행하고 있는 '조건부 면허제도'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조건부 운전면허란 시간대, 공간(자택에서 ~km 반경), 속도, 동승자 여부에 따라 운전을 허용하는 제도를 말한다. 영국,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호주 등 주요 선진국은 이미 시행하고 있다.

경찰청이 2020년 2월 펴낸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고령 운전자 교통안전대책 수립연구'에서도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하는 운전자 중 조건부 면허를 신청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를 우선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찰청은 "운전자의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기·수시 적성검사를 확대하는 동시에 의료 전문가의 역할 및 권한, 조건부 면허 발급 대상 및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