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공정성 어디로…한국 청년 20% "노력해도 성공 못한다" 30년 새 2.5배↑

'월드 밸류 서베이' 조사서 "성공 못한다" 응답률 中美日보다 높아

코로나19 장기화가 청년들의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계명대 성서캠퍼스에서 열린 교내 취업박람회를 찾은 학생들이 기업체가 제공하는 직무 정보 관련 토크콘서트에 참가하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코로나19 장기화가 청년들의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계명대 성서캠퍼스에서 열린 교내 취업박람회를 찾은 학생들이 기업체가 제공하는 직무 정보 관련 토크콘서트에 참가하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청년 5명 중 1명이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며 우리 사회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같은 조사 때보다 2.5배 높은 수치로 지금의 청년층인 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 출생)가 느끼는 열패감이 1990년대 초반 '86세대'가 청년일 때 느꼈던 좌절감보다 훨씬 컸다.

28일 한국행정연구원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사회전환을 위한 과제 연구'(연구책임자 박준)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조사기관 '월드 밸류 서베이'의 7차 조사(2016~2020년)에서 한국의 16~24세 청년 중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20.8%였다.

한국 청년들의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은 2차 조사(1990~1994년) 때는 8.4%였다.

이는 전체 조사 국가 청년층의 평균 답변율이 2차 때 16.0%에서 7차 때 14.7%로 하락한 것과 대조된다.

이런 부정적 응답을 한 한국 청년들의 비율은 미국, 일본, 멕시코, 스웨덴 등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중국의 경우 2차 조사 때 35% 수준이었던 것이 7차 조사 때는 10% 수준으로 대폭 낮아졌다.

한국의 경우 전체 연령대로 봐도 이런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는 명제에 대한 답변율은 2차 조사 때 9.5%였던 것이 7차 조사 14.1%로 높아졌다. 청년층에서 증가폭이 가장 컸지만, 전체 연령대에서도 상승 추세가 이어진 것이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사회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하긴 하지만 신뢰의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신뢰의 감소와 사회적 연대감의 약화가 불평등하다고 인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