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화 대비 달러 환율이 급등해 1천300원을 위협하고 있다. 환율 1천300원은 금융위기나 경제위기 등 위기의 한복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1천300원에 이르면 마지노선이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최근 이런 평가 잣대에 대한 반론도 나온다.
2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화 대비 달러 환율은 이날 종가 기준으로 1천265.1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28일 종가 기준으로 1천272.5원까지 올랐다. 29일 1천250원대 중반까지 내려서기는 했지만 28일 종가는 2020년 3월 19일(1천285.7원·종가 기준)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한때 금융시장에선 원화 대비 달러 환율이 단기적으로 1천300원을 돌파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팽배했다.
하지만 역사를 돌이켜보면 환율 1천300원은 그리 간단한 수치가 아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단 한 번도 1천300원대에 들어선 적이 없다.
금융위기의 한복판이었던 2009년 3월 6일 장중 한때 원화 대비 달러 환율은 1천597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점차 하향 안정세를 찾았다.
평시에는 1천50원과 1천200원 사이에 머물렀다. 한국 경제가 견고하면 1천50원 선을, 다소 어려운 국면에선 1천200원 안팎에서 움직였다.
원/달러 환율이 1천250원대를 넘어 1천300원대에 육박한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코로나19 사태 초기밖에 없다. 종가 기준으로 보면 2020년 3월 19일(1천285.7원), 3월 23일(1천266.5원) 이틀뿐이다.
2020년 3월 금융시장은 코로나19라는 전무후무한 전염병의 습격을 받아 패닉 그 자체였다.
당시 원/달러 환율이 고점을 기록했던 3월 19일 코스피는 1천457.64로 코로나19 위기 저점이었다. 나스닥 지수도 7천150으로 당시 저점 즈음이었다.
현시점에서 그 당시 수준만큼 원화 가치가 절하돼야 하느냐는 의문이 남는 것이다.
물론 지금도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중국의 코로나 봉쇄조치에 따른 경기둔화 가능성이 맞물리며 원화 가치는 하락하고 있다.
최근에는 러시아의 디폴트 선언 가능성까지 흘러나오면서 변동성을 키우는 양상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한다 해도 원/달러 환율이 1천300원에 근접하는 현 국면을 한국이 절대적인 위기를 맞은 상황으로 해석하는지에 대해선 의문을 표시하는 시각이 상당하다.
최근 원화 대비 달러 환율 고점인 지난 4월 28일 기준으로 보면 주요 6개국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작년 말 대비 8.1% 강세였다.
같은 기간 원화 가치는 6.6% 절하됐다. 달러화 강세만큼 절하되지 않았다.
달러당 엔화 가치는 같은 기간 11.6% 절하됐다. 달러당 엔화 환율은 130엔선을 넘어 2002년 4월 이후 가장 심각한 엔저를 기록했다.
유로화도 절하율이 7.6%에 달한다. 위안화 절하율은 4.3%다.
주요 통화와 비교해볼 때 원화 가치는 상대적으로 방어를 잘 한편에 속한다는 의미가 된다.
한 전문가는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은 한국의 펀더멘털에 대한 문제라기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나 중국의 봉쇄 등 대외변수에 따른 전 세계적인 달러 강세 현상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면서 "이런 측면에서 한국에 무슨 문제가 있다는 시각으로 접근하는 견해는 따로 감지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