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 개통 이후 약 한 달간 서대구역을 이용한 승객이 하루 평균 2천564명으로 집계됐다. 국가철도공단이 예상했던 하루 이용객 6천162명의 42% 수준이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서대구역은 남측 정류장에서 급행8, 204, 234, 240, 309, 524, 서구1, 서구1-1번을 이용할 수 있다. 북측에는 성서3번이 정차한다. 27개 노선이 정차하는 동대구역의 3분의 1 수준인 셈이다.
개통 불과 한 달 만에 희비를 논할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 그럼에도 이대로라면 서대구역이 상당 기간 활성화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달서구 및 달성군 거주자들은 동대구역보다 서대구역이 훨씬 가까워 큰 기대를 했지만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반응이다.
출퇴근 시간이면 본리네거리~서대구역 구간은 교통혼잡이 심하다. 시민들은 택시나 승용차로는 서대구역 도착 시간을 가늠하기도 어렵다고 하소연한다. 이런 상황에서 버스 노선 몇 개를 더 늘린다고 문제가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구 서부권 최대 주거지역인 상인, 월배, 진천, 대곡 지역 주민들은 차라리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동대구역을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고 말할 정도다.
서대구역은 2023년 대구권 광역철도(구미~서대구역~경산)가 개통하고, 2027년에는 대구산업선(서대구역~대구국가산업단지)이 개통한다. 또 대구경북선(통합신공항철도·서대구역~통합신공항~의성), 달빛내륙철도(서대구역~광주시 송정역)도 예정돼 있다. 서대구역을 기점으로 사통팔달 교통망이 연결되어 대구 서부권 시대의 초석이 되는 셈이다. 관건은 인구 밀집 지역인 상인, 월배, 진천, 대곡 등과 서대구역을 어떻게 연결하느냐는 것이다. 서대구역~죽전네거리~본리네거리~학산공원~달서구청~상인역을 연결하는 트램(tram) 노선 또는 다른 획기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획기적인 노선 대책 없이는 대구 서부권 약 11만 가구와 서대구역이 시너지를 발휘하기 어렵고, 대구 서부권 시대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