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활주로 길이로 얼마가 적당한지에 대해 의문의 꼬리표가 달리고 있다. 양 시·도는 3.2㎞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이지만 정부가 가덕도신공항 활주로 길이로 그 이상을 제시하면서 TK 관가에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지난 8일 대구경북 지역 공약을 발표하면서 통합신공항 활주로 길이로 '3.2㎞ 이상'을 내세웠다.
'이상'이라는 단서가 달렸지만 정부와 대구경북 안팎에서는 통합신공항 활주로 길이로 사실상 3.2㎞가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그간 양 시·도는 3.2㎞ 길이의 활주로를 갖추면 중·장거리 노선의 여객·화물기 취항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해 왔다.
기존 대구국제공항의 활주로 길이(2.8㎞)보다 400m가량 긴 활주로 조성안이 정부 계획에 반영되는 것만으로도 성과라고 봤다. 이 때문에 인수위 공약에도 '3,200m'라는 숫자가 명시됐다.
문제는 지난달 말 국토교통부가 가덕도신공항 건설 추진계획을 밝히면서 활주로 길이를 3.5㎞로 발표했다는 점이다.
국토부는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국적사 화물기(B747-400F)의 최대이륙중량 기준의 이륙 필요거리(3,480m)를 고려'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이 보유한 대형 화물기가 최대로 중량을 싣고 이륙할 때 필요한 활주로 길이가 3.5㎞라는 의미이다.
이는 곧 3.2㎞로 건설될 통합신공항에서는 국적기 화물기가 최대중량을 싣고 이륙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3.2㎞ 활주로로 충분하다고 봐왔던 대구시와 경북도의 판단이 무색해지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국토부 역시 과거 김해신공항 추진 과정에서 대형 여객·화물기가 퇴역하는 추세에 맞춰 3.2㎞ 길이의 활주로가 적합하다는 입장을 내놨었다.
김해신공항 건설 기본계획의 적절성을 검증했던 위원회에서도 2020년 11월 발표문을 통해 '활주로 길이 3,200m에서 뉴욕 노선(장거리 노선)을 운항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대형에서 중대형으로, 제작기술 발전에 따른 소요 길이 감소 등 업계 변화에 따라 긴 활주로의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항공 분야 전문가들의 얘기와도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정부가 어떤 이유에서 가덕도신공항 활주로 길이로 3.5㎞를 내세웠는지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정부의 입장 변화에 따라 통합신공항 활주로 길이를 3.5㎞로 건의해야 하는 건 아닌지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지역 관가 한 관계자는 "대형 화물기에 최대중량을 싣고 장거리 비행에 나설 경우는 1년에 몇 번 있을까 말까할 정도로 드물다"면서 "지역 요청보다 적은 항공 수요를 반영하는 대신 활주로 길이를 늘려주는 정치적 판단을 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TK신공항 활주로 길이는 3.2㎞로도 충분해보이지만, 정부가 왜 가덕도신공항 활주로 길이로 3.5㎞를 제시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