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30 빈부격차 커졌다…상위 20% 자산, 하위 20%의 35.3배

상위 20% 자산 1억여원 늘 때 하위 20% 300만원 증가
김회재 의원 "부모 찬스 없이도 격차 해소할 수 있어야"

2030 청년세대의 상위 20% 가구 자산이 하위 20%의 35.2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돈이 풀린 탓에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치가 크게 오르면서 빈부격차도 1년 새 더 벌어졌다. 사진은 15일 서울 청와대 상공에서 바라본 마포와 여의도 일대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2030 청년세대의 상위 20% 가구 자산이 하위 20%의 35.2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돈이 풀린 탓에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치가 크게 오르면서 빈부격차도 1년 새 더 벌어졌다. 사진은 15일 서울 청와대 상공에서 바라본 마포와 여의도 일대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2030 청년세대의 상위 20% 가구 자산이 하위 20%의 35.2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돈이 풀린 탓에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치가 크게 오르면서 빈부격차도 1년 새 더 벌어졌다.

16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3월 말 기준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5천651만원으로 1년 전보다 3천802만원 증가했다. 자산 상위 20% 가구(9억8천185만원)와 하위 20% 가구(2천784만원)의 자산 격차는 35.27배로 전년보다 0.07배포인트 확대됐다.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의 자산 증가율은 각각 12.8%, 12.6%로 비슷했지만, 증가액은 각각 1억1천141만원, 311만원으로 확연히 달랐다. 원래 갖고 있던 자산, 즉 출발선의 차이가 워낙 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30대의 자산 5분위 배율은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돈이 풀리면서 부동산·주식 등 자산 가격이 크게 오르기 전인 2019년(33.21배)과 비교하면 2.06배포인트 확대됐다. 2019년에는 상위 20% 가구의 자산이 8억원, 하위 20% 가구의 자산은 2천409만원이었다.

20∼30대 가구의 경상소득 5분위 배율은 2020년 기준 6.52배로 전년(6.58배)보다는 소폭 개선됐다. 소득 상위 20%의 경상소득(1억2천832만원)이 1년 전보다 742만원(6.1%) 늘었고, 하위 20%의 경상소득(1천968만원)은 131만원(7.2%) 증가했다.

경상소득도 격차가 상당하지만, 청년 세대 내 자산 격차를 설명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부모 등으로부터 받은 자산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의원은 "소득 격차만으로는 35배에 달하는 자산 격차를 설명하기 어렵다"며 "삶의 출발선에서부터 극복하기 어려운 격차를 안고 시작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