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세, 전세보다 많았다…관련 통계 작성 후 처음

지난달 기준 월세 13만295건, 전세 12만8천23건
임대차 3법, 금리인상 등 영향

지난달 전국에서 이뤄진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이 전세 거래량을 처음으로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의 아파트.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에서 이뤄진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이 전세 거래량을 처음으로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의 아파트.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에서 이뤄진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이 전세 거래량을 처음으로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4월 전국 전월세 거래는 모두 25만8천318건으로, 이중 월세가 50.4%(13만295건)를 차지해 전세 거래량(12만8천23건·49.6%)을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월세 거래량이 50%를 넘고 전세 거래량을 추월한 것은 정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월세 비중이 늘어난 것은 2020년 7월 도입된 '임대차 3법'의 영향이 큰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특히 작년 6월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이후 그동안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 계약 신고가 늘어나 월세 비중도 함께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잇단 금리 인상으로 세입자 입장에서도 전세대출을 받아 비싼 이자를 내느니 차라리 집주인에게 월세를 내는 편이 낫다고 여기는 분위기도 월세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선 이후 재건축 등 부동산 관련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며 주택 거래량은 서서히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8천407건으로 전월 대비 9.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37.2% 감소한 것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6천120건으로 전월 대비 20.0%, 경기는 1만3천261건으로 15.7%, 인천은 3천965건으로 11.8% 각각 증가했다. 작년 4월과 비교하면 서울은 48.5% 감소했고 경기와 인천은 각각 44.9%, 56.3% 줄었다.

지방은 3만5천61건으로 전월 대비 5.1% 늘었고, 작년 동월 대비로는 27.0% 감소했다.

4월 전체 매매량을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가 3만5천679건으로 전월 대비 9.8%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9.8% 감소했다. 아파트 외 주택(2만2천728건)은 전월 대비 8.4% 늘었고,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32.8%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국 기준 4만8천560호로, 작년 4월과 비교해 8.9%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 물량은 1만5천484호로 1년 전보다 39.2% 줄었고, 지방은 3만3천76호로 73.0% 증가했다. 서울의 4월 인허가 물량은 3천750호로 작년 동월보다 62.9% 감소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