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준석 "대표직 유지" VS 권성동 "권한 즉시 정지"…당내 갈등 점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준석 대표 중징계 결정에 2030 남성 지지층 이탈 분석도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오른쪽), 권성동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오른쪽), 권성동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민의힘 당 중앙윤리위원회가 이준석 대표에게 '6개월 당원권 정지' 결정을 내린 것과 관련해 이 대표의 대표직 유지를 두고 당내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8일 이 대표가 대표직에서 물러나지 않고 징계처분을 보류시키겠다고 밝히면서 여권 내부의 혼란이 커지는 양상이다.

이날 오전 이 대표는 라디오에 나와 '당 대표에서 물러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윤리위원회 규정을 보면 윤리위원회의 징계 결과 징계처분권이라고 하는 것이 당 대표에게 있다"며 "(징계를) 납득할 만한 상황이 아니라면 우선 징계 처분을 보류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어 "처분이 납득 가능한 시점이 되면 그건 당연히 받아들이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다)"며 "가처분이나 재심 같은 상황들을 판단해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밝히면서 윤리위의 징계 결정에 승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자진 사퇴 의향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고려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수사기관의 판단이나 재판 결과가 나오면 그에 따라 윤리위가 처분을 내리는 것이 지금까지 정치권에서 통용되던 관례"라며 "수사 절차가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 속에서 6개월 당원권 정지라는 중징계가 내려졌다는 것은 윤리위원회의 형평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것을 제쳐두고 제 것만 쏙 빼서, 수사 절차도 아직 시작되지 않은 상황에서 (윤리위가 징계를) 판단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좀 의아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권한이 즉시 정지되고 직무대행 체제로 간다는 입장을 냈다.

권 원내대표는 "징계 의결 즉시 효력이 발생해 당 대표 권한이 정지되고 원내대표가 직무대행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업무가 6개월 정지되는 것이라 '사고'로 해석돼서 직무대행 체제로 보는 게 옳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소속 의원들에게 익명 인터뷰를 자제시키는 등 입단속에 나서는 분위기다.

권 원내대표는 "당의 입장에서 매우 불행한 일"이라며 "각자의 입장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해석과 거친 표현을 자제해달라. 특히 익명 인터뷰는 절대 하지 말라"고 소속 의원들에게 당부했다.

그러면서 "말 한마디가 당의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며 "지방선거 1개월만에 다시 당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당이 혼란을 극복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저를 포함한 당원의 의무"라며 대응을 자제시키는 이유를 설명했다.

▶여권 지지층 가운데 2030대 남성들의 이탈이 시작됐다는 전망도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이 대표가 '최초의 30대 당대표'라는 타이틀로 입지를 다진 터라 이번 중징계로 그의 핵심 지지층인 '이대남(20대 남성)'의 반발이 거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2030대 당원들의 반발을 의식한 듯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SNS에 통해 "국민의힘의 당원이 되는 빠르고 쉬운 길. 온라인 당원가입"이라며 "한 달에 당비 1000원 납부약정하면 3개월 뒤 책임당원이 되어 국민의힘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 3분이면 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