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령으로 경제활동 안 하는 사람 248만명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올해 상반기에만 21만6천명 증가
연로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 가팔라
인구 고령화와 수명 연장 영향 탓
인구 위기 대응 TF 가동해 대책 찾기로

나이가 많아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지난달 약 2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6월 고령으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 248만3천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고용동향 조사 기간에 취업 또는 실업이 아닌 상태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일할 능력과 관계없이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을 뜻한다.

연로 비경제활동인구는 상반기 누계 기준으로 21만6천명 늘었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가 올해 6월까지 16개월 연속 줄어든 가운데 고령으로 인한 비경제활동인구만 증가했다.

특히 고령으로 인한 비경제활동인구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연로 비경제활동인구는 조사 시작 당시인 1999년까지만 해도 140만7천명에 머물렀으나 10년 만인 2009년 157만9천명을 기록한 데 이어 2016년에는 200만명을 돌파, 206만7천명에 이르렀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중 연로 비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999년 10.3%에서 올해 15.6%로 상승했다"며 "인구 고령화, 평균 수명 연장 현상이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또 통계청은 인구 고령화가 앞으로 더 심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계청의 내·외국인 인구 전망에 따르면 내국인 중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20년 3천583만명에서 2040년 2천676만명으로 주는 반면 같은 기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07만명에서 1천698만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노년 부양비는 2020년 22.5명에서 2040년 63.4명으로 2.8배나 치솟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년 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경제활동인구가 줄면 경제 성장세에도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 정부가 '인구 위기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게 된 이유다. TF는 ▷경제활동인구 확충 ▷축소사회 대비 ▷고령사회 대비 ▷저출산 대응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과제를 논의, 인구 위기 대응 방안과 부문별 대책을 발표해나갈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