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의 연간 수출액이 사상 최초로 100억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8일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2022년 대구경북 상반기 수출 평가·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대구 수출은 전년 대비 27.1% 증가한 101억달러로 예측돼,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경북은 전년 대비 5.0% 증가한 466억달러로 예상돼 9년 내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대구 수출은 기타정밀화학원료(2차전지 소재)가 이끌었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돼 완성차 생산이 정상화되고, 중국과 미국 등에서 전기차 생산이 확대된 영향이다. 와이어링하네스 등 자동차 부품도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인쇄회로(PCB), 의료기기(임플란트), 농림수산물 수출도 호조였다.
상반기 경북 수출은 IT부품이 주도했다.
세계적으로 수요가 지속되는 애플사 카메라모듈이 지역에서 생산되고 평판디스플레이, 집적회로반도체, 실리콘웨이퍼, 인쇄회로 등도 수출 실적에 기여했다. 철강제품 역시 가격이 상승해 수출이 호조였고 의약품과 자동차 부품 수출도 회복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무협 대경본부는 하반기 지역 수출 환경이 녹록지 않다고 진단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인플레이션 확산으로 미국이 빠르게 긴축에 나서고 있어서다. 특히 인플레에 따른 긴축은 수요 위축을 초래해 지역 수출에 즉각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안전자산 선호심리와 미국 금리인상으로 달러 강세가 지속되는 상황도 지역 기업에는 부담이다. 일반적으로 환율 상승은 수출 기업에 유리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과 맞물려 기업의 수입 비용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엔화, 유로화, 신흥국 통화 등이 모두 약세여서 달러 강세의 효과도 기대하기 힘든 형편이다.
주요 수출 대상국인 중국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펼치고 있어 지역 경기에 도움이 될 거란 기대도 있지만, 최근에야 조금씩 안정되고 있는 물류비를 다시 자극할 우려도 나온다.
이런 수출 환경을 고려할 때 하반기 대구경북 수출은 IT부품과 철강제품이 고전할 가능성이 높다. 언택트 특수가 종료되며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인플레 영향으로 IT제품 고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철강제품은 환경규제와 유럽 지역 경기침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성장동력을 유지 중인 품목들은 하반기에도 수출이 확대돼 연간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의 대표 산업이 된 2차전지 소재와 함께 완성차 생산 정상화, 해외 전기차 공장 투자 효과로 자동차 부품 수출이 늘어날 전망이다. IT부품 가운데에도 성장 모멘텀이 살아있는 카메라모듈, PCB기판은 수출이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무협 대경본부는 인플레 장기화와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성장산업과 가격탄력성이 낮은 산업을 집중 육성해 지역의 수출 동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헌 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확대세를 지속하던 지역 수출이 인플레 발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며 변곡점에 서 있다"고 평가하면서 "지역 수출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략 품목을 발굴·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