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최근 교육청에 지원 예산을 10% 줄인다고 밝히면서 학생 복지와 시민 편의가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구시는 지난 14일 채무를 절반 이하로 줄이기 위한 재정혁신 방안을 발표하면서 대구시교육청에 지원하는 900억원 규모의 보조사업 예산(비법정 전입금)을 10% 줄이겠다고 밝혔다. 시는 보조사업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상급식은 유지할 방침이어서, 나머지 학교 개·보수나 도서관 운영비 등은 감축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시로부터 받는 비법정 전입금(전입금)은 올해 1차 추경을 기준으로 887억5천만원이다. 시의 10% 축소 계획에 따르면 88억원가량이 줄어들게 된다. 세부 지출 항목을 보면, 유·초·중·고 급식비 지원이 766억5천만원으로 전체 전입금의 86.4%를 차지한다.
급식비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나머지 사업 예산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학생 교복 구입과 공공도서관 운영 등 복지와 시민 편의 관련 사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어서 시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전입금 중 급식비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운영비가 43억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9곳 중 시 소유인 6곳을 시교육청이 위탁 운영하는데, 이곳들의 예산이 줄어들게 된다.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문화 행사와 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해 오디오북·전자책 등 자료 구입이 위축될 우려가 있는 것.
지역 한 도서관 관장은 "운영비를 받지 못한다면 현재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평생교육 강좌나 예술 전시회 등 각종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오직 책을 대출하는 기능만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져 시민 불만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아울러 시행된 지 2년째인 학생 교복 지원 사업도 축소될 수 있다. 시교육청은 학부모의 교복 구입비 부담을 덜고자 국·공·사립 중·고등학교 입학생과 타 시·도 및 국외에서 전입하는 1학년 학생에게 동·하복을 1벌씩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중학교 신입생을 시작으로 올해 고등학교 신입생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교복 지원 사업의 올해 예산 117억원 중 전입금을 통해 시가 부담하는 비율은 21.3%(24억9천만원)를 차지한다. 전입금이 끊긴다면 교복 지원 대상이 지금보다 줄어들게 된다.
시의 전입금 10% 발표 후 구체적인 감축 규모와 대상은 아직 논의되지 않고 있다. 통상 비법정 전입금 규모는 10, 11월쯤 다음 해 예산안 확정 때 협의가 이뤄진다.
대구시 관계자는 "감축 계획은 시의 채무 상황이 심각하니 조정을 통해 고통을 분담하자는 차원에서 나온 것"이라며 "시가 부담하는 비율을 줄이고 대신 시교육청이 보조하는 부분을 높이자는 의미다. 사업 중단 등 우려되는 부분은 없도록 실행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