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와 학생, 교직원 등 교육주체 10명 중 9명 이상이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5세로 하향하는 학제 개편안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강 의원실이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1~7일까지 학생·학부모·교직원 등 총 65만276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입학연령 만5세 하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94.7%가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응답자 중 학부모는 65.2%, 교직원은 17.4%, 중·고등학생은 10.2%, 시민은 4.2%, 초등학생은 2.1%, 대학생은 0.9% 순이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정책 추진 절차의 정당성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94.4%가 '정당하지 않다'고 답했다. 2018~2022년생을 25%씩 분할해 정원을 늘려 입학하는 것에 대해서도 94.2%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반면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5세로 하향하는 정책에 대해 '학부모 및 교원 등 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재검토해야 하는지'를 묻는 문항에는 91.8%가 동의했다.
강 의원 측은 이를 토대로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에 관해 반대하는 의견이 국민 대다수의 의견이라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정부의 학제 개편 시나리오라면 당장 2025학년도 초등학교 입학 연령인 2018년생(만 6세)과 2019년 1~3월에 태어난 아이들이 함께 초등학교에 다니게 된다"면서 "코로나19로 야외활동 부족에 발달 기회가 감소하고, 마스크 사용으로 언어노출 및 발달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 지금도 이미 힘든 아이들이 조기입학 정책으로 간극과 고통이 더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사교육 시장을 오히려 1년 앞당기는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국민 절대다수가 반대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공론화 절차를 거치는 것은 시간 낭비이며, 그 피해는 교육 현장과 아이들에게 돌아간다"며 "윤석열 정부는 국민들의 반대와 우려가 큰 정책을 이제라도 철회하고, 박순애 장관은 이에 책임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