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RPC(미곡종합처리장)에 쌀 재고가 쌓여 가격 폭락이 예상되자 농협은 창고 대여료 지원 등 목적의 쌀값 안정 특별지원금 3천410억원을 풀기로 했다.
농업계는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대대적인 '재고털이' 캠페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가 벼를 재배토록 지정한 '절대농지'를 일부 해제토록 하는 등 쌀 공급을 대폭 줄이자는 주장도 나온다.
농협은 지난 10일 쌀 과잉재고에 따른 폭락세를 끊어내고자 '쌀 산업 안정 특별지원 방안'을 내놨다.
국내 쌀 사업 참여 농협들에 무이자자금 3천억원과 특별편성 410억원 등 모두 3천410억원을 푼다는 내용이다.
특별지원방안 주요 내용은 ▷수확기 대비 벼 수매 농협 창고 공간 확보를 위해 쌀 창고 이동 및 제반 비용 지원 ▷쌀 산업 기반 육성과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벼 수매 농협 지원 ▷경영이 어려운 농촌 농협 재고처리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실천 지원 등이다.
특히 무이자자금 3천억원으로는 올해 생산하는 벼를 수매할 창고 공간을 확보하고, 현재 창고 공간 부족에 처한 농협의 쌀 재고 8만t을 다른 창고로 이동·보관할 비용을 제공한다.
아울러 쌀 산업 기반을 키우고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데 235억원을 지원한다. 지역 농협이 보유한 쌀 5천t은 가공용으로 판매하도록 해 재고 처리와 경영개선에 나선다.
이 밖에도 소외계층에 쌀 2천t을 기부하고 도시농협과 농협 임직원에 대해 쌀 소비촉진 운동을 벌여 쌀 3천톤(t) 이상 판매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성희 농협 중앙회장은 "쌀 산업 발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정책방향을 건의하고 농업인 소득안정과 국민 식량창고를 지키는 버팀목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 농업계 일부에선 애초 정부 차원에서 쌀 생산량을 줄일 궁극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현대인의 쌀 소비가 점차 줄어드는 만큼 현존 벼농사 농지는 과잉이며, 정부가 농업진흥지역(절대농지) 해제요건을 대폭 완화해 일부 농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매각할 수 있게 하자는 주장이다.
정부가 쌀 과잉에 대응한다며 논에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심도록 한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도 있지만, 이는 수고 대비 소득이 적어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문경 농업인 고재흠(62) 씨는 "비농지는 매매 때 실거래가를 적용받지만 농지는 3.3㎡ 당 가격이 10만원 전후 헐값으로 거래되는 게 현실이다. 어쩔 수 없이 땅을 팔지 못한 채 농사를 지어야 해 벼 재배 면적이 줄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의성 농부 신모 씨도 "다른 작물은 벼농사보다 노동력은 더 많이 들고 수입은 떨어지는데 지원금 조금 받는다고 사업에 참여할 농가가 어디 있겠느냐"며 "농민들도 앞으로 쌀 재배 면적을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는 건 알지만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