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 14일 현충원서 열린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봉송식 참석

"예우에 한치 소홀함 없도록 하고 국가의 이름으로 끝까지 챙기고 기억하겠다"
합동봉송식 후엔 김영관 애국지사 자택 방문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봉송식에서 한 의장대원의 유골함 고정 끈을 바로잡아 주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봉송식에서 한 의장대원의 유골함 고정 끈을 바로잡아 주고 있다. 연합뉴스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이름도 남김없이 쓰러져갔던 영웅들을 우리 모두 끝까지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봉송식에 참석, 추모사를 통해 "정부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을 책임있게 예우하는 데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무명의 희생과 헌신도 국가의 이름으로 끝까지 챙기고 기억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역에 안장됐던 선열 17위를 국립묘지로 봉송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임시 안치된 서울현충원에서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 묘소에는 20대의 젊은 나이에 중국지역에서 일제에 항거하다 전사하거나 옥중 순국하신 13분을 포함해 17위의 선열들이 지난 60여년간 모셔져 있었다"며 "광복 77년 만에 17위 선열 모두를 국립묘지로 모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추모사 모두에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누리고 있는 이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고 먼저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합동봉송식를 마친 뒤 광복군 출신으로 생존해 계신 김영관(97) 애국지사의 자택을 찾아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김 애국지사는 경기도 포천 출생으로 1944년 일본군에 징집돼 근무 중 탈출, 중국 중앙군 제3전구 충의구국군 총지휘부를 거쳐 광복군에 입대했다. 이후 중국군 제3전구 관내 강서성(江西省) 상요(上饒) 하구진(河口鎭)의 제1지대 제2구대와 징모 제3분처에서 항일 독립운동 활동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