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정기 예·적금에 시중 자금이 몰려들고 있다.
5대 은행 예·적금이 최근 약 40일 사이 34조원이나 불었는데, 이는 올해 상반기 6개월 동안 유입된 자금보다도 큰 규모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달 사상 처음 빅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밟은 뒤 수신(예금) 금리가 뛰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반대로 갈 곳을 잃은 '부동 자금', '대기성 자금' 성격의 요구불예금과 예탁금 등 증시 주변 자금 등에서는 돈이 계속 빠져나가고, 가계 대출도 뚜렷하게 줄어드는 추세다.
◆5대 은행 정기 예·적금 34조원 몰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기 예금 잔액은 지난 11일 기준 718조9천50억원으로 7월 말보다 6조4천599억원 증가했다. 정기 적금 잔액(38조5천228억원)도 같은 기간 4천61억원 늘었다.
7월 5대 은행 정기 예·적금이 28조56억원 불어난 것을 고려하면, 최근 약 한 달 열흘 사이 무려 34조원 이상(28조56억원+6조4천599억원+4천61억원) 급증했다.
특히 40여일간 불어난 정기 예·적금은 올해 상반기(1∼6월) 5대 은행 예·적금 증가액(32조5천236억원: 정기 예금 30조1천600억원+정기 적금 2조3천636억원)보다도 많다.
한은의 빅스텝 직후 시중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즉각 최대 0.90%포인트(p) 인상했다.
이날 현재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이 판매하는 1년 만기 정기예금과 적금 금리(우대 적용 단리 기준) 상단은 각각 3.60%, 5.50%였다.
◆요구불예금 크게 감소
정기 예·적금과는 대조적으로 대기성 자금으로 분류되는 은행 요구불예금의 경우 7월 이후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은 빅 스텝이 단행된 7월 한 달간 36조6천33억원 줄어든 데 이어 이달에도 지난 11일(잔액 661조3천138억원)까지 12조464억원이 더 빠져나갔다.
증시 주변 자금도 지난 11일 기준 167조504억원 수준으로, 7월 초(169조3천억원)와 비교하면 2조2천509억원 정도 줄었다.
증시 주변 자금은 투자자 예탁금(54조7천873억원), 파생상품거래 예수금(12조3천542억원), 환매조건부채권(RP·80조4천46억원), 위탁매매 미수금(2천99억원), 신용거래융자 잔고(19조2천109억원), 신용 대주 잔고(833억원)를 합한 것이다.
가계 대출도 계속 내리막이다. 11일 현재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96조6천191억원으로 6월 말(699조6천521억원)과 비교해 3조330억원이나 줄었다.
◆까다로운 조건 탓에 최고 금리 받기 어려워
요구불예금과 증시 등에서 빠져나온 돈이 정기 예·적금에 몰리는 현상은 은행들이 최근 내놓은 예·적금 특판 상품이 '조기 소진'되고 있다.
하지만 은행들이 내놓는 고금리 예·적금의 우대금리 조건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실제로 최고 금리를 받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우리은행이 판매하는 '우리 Magic 적금 by 롯데카드'의 최고 금리는 연 7.00%지만, 기본금리는 연 1.50%고 우대금리가 5.50%p다.
이 중 롯데카드 관련 우대금리가 5.00%p인데, 적금 가입일 월초부터 최종만기일 전월까지 600만원 이상 신용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자동이체 건수를 매월 1건 이상 보유해야 한다. 우리은행 관련 우대금리 0.50%p는 오픈뱅킹 서비스에 가입하고, 상품·서비스 마케팅에 동의해야 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의 '내집마련 더블업 적금'은 연 5.50% 금리를 주지만, 하나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날 단 하루만 가입할 수 있어 가입 조건 자체가 까다롭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