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년 동안 반도체의 대중(對中)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이런 내용이 담긴 '산업별 대중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정밀기기·정밀화학·반도체 순으로 수출 의존도 높아
산업별로 해당 산업의 전 세계 수출량에서 대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기준 대중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등의 순이었다.
목재(42.3%), 가죽·신발(38.8%)의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높았던 2000년과는 양상이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대한상의는 "소비재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많이 늘어났다"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2000년 이후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지난해 반도체 산업의 대중 수출 비중은 39.7%로 2000년(3.2%)과 비교하면 36.5%포인트(p) 상승했다. 20여년 새 비중이 12.4배 늘어난 셈이다.
정밀기기'(7.5→42.5%·35%p↑), 디스플레이(2→35.2%·33.2%p↑), 세라믹(5.6→32.3%·26.7%p↑), 통신기기(1.5%→27.9%·26.4%p↑) 등도 대중 수출 비중이 큰 폭으로 올랐다.
대한상의는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중 의존도 증가는 역으로 말하면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라며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대중 교역은 빠르게 급증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수교 후 8년 뒤인 2000년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185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중 수출 규모는 1천629억달러로 2000년과 비교하면 9배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대중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로 늘었다.
중국은 2003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수출국 1위를 지키고 있다.
◆중국 시장 보는 시각도 크게 달라져
한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규모는 2000년 128억달러에서 지난해 1천386억달러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에서 22.5%로 상승했다.
다만 최근 추이를 살펴보면 대중 교역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교역수지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중간재 등 분야에서 대중 수입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가 현지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대중 수출은 상대적으로 위축됐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대중 직접투자의 양상 변화에도 주목했다.
2000년 대중 직접투자는 8억달러 수준에 불과했으나, 지난해는 67억달러로 크게 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 내 한국의 직접투자 비중은 2.5∼3% 수준으로 절대적인 규모는 크지 않지만, 화교 자본을 제외한 순수 외국 투자로는 일본과 함께 최대 수준이라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가장 달라진 점은 투자 목적이었다. 2000년 대중 직접투자의 절반 이상은 '수출 촉진'(51%)이 목적이었다. 제3국 진출을 위한 일종의 발판 삼기용 투자였던 것이다.
하지만 지난해는 '현지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이뤄진 투자가 67%로 가장 많았다.
이는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보는 시각이 생산입지에서 수요시장으로 전환됐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