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민의힘 새 원내사령탑 자리에 오른 주호영 신임 원내대표는 영남권 출신의 당내 최다선인 5선 중진 의원이다.
바른정당 및 야당이던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시절 이미 원내대표를 지낸 경험이 있고, 윤석열 정부 집권 100일도 안 돼 집권여당이 위기에 처하자 지난달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등판했었다. 이번에는 '투톱' 중 원내대표 자리를 맡아 국민의힘 비상 체제의 한 축을 책임지게 됐다.
판사 출신인 주 신임 원내대표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대구 수성을에서 당선된 뒤 대구에서 내리 5선을 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의 '진박'(眞朴·진짜 친박) 공천 갈등으로 공천에서 배제되자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뒤 복당했다.
2020년 21대 총선 직후 제1야당으로 출발한 미래통합당의 첫 원내대표를 맡아 김종인 당시 비대위원장과 함께 총선 패배 이후의 당을 수습했었고, 집권여당이던 새누리당에서 정책위의장을 지내기도 하는 등 주요 당직을 두루 거쳐 경험이 풍부하다.
당내 대표적인 '불자'의 한 사람으로, 불교계와 교분이 매우 두터운 정치인이다.
주 신임 원내대표는 이명박(MB) 정부 시절 특임장관을 지내 옛 친이(친이명박)계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옛 친이계 출신인 당내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그룹과도 가까이 소통하는 사이로 알려졌다.
주 신임 원내대표는 직전 비대위원장으로 사실상 추대됐을 때도 '친윤 색채' 등 계파색이 옅은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혔다. 권성동, 장제원 등 친이계 출신 윤핵관 의원들은 물론이고 당내 다양한 의원들을 아우르며 계파 논란 등에 따른 당내 분란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보수 텃밭인 TK(대구·경북) 지역을 기반으로 둔 데다, 온건하고 합리적인 성품으로 중도보수 성향 이미지가 강한 점 등도 당의 조기 안정과 화합이 필요한 현시점에 원내사령탑으로서 '장점'으로 꼽힌다.
이번 원내대표 선출 과정에서 '윤심' 논란이 있었던 만큼, 주 신임 원내대표는 당정 간에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갖추면서도 대통령실과 '건강한 소통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숙제를 떠안게 됐다.
물론 윤석열 정부의 첫 정기국회에서 야당 공세를 막아내는 동시에 국정감사, 예산안 처리 등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입법적 성과를 내야 하는 것도 최우선 과제다.
이 밖에 이 전 대표가 비대위 출범과 관련해 잇따라 제기한 '가처분 공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차기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무사히 치러내는 '투톱'으로서 역할도 요구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