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지역균형발전은 단순 구호에 그쳤다.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대구 동구을)이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2002~2020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 자료(2021년 자료 없음)에 따르면, 전체 GRDP 중 수도권 비중은 2016년 50.44%에서 2020년 52.73%로 2.29%포인트(p) 늘었다. GRDP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4개 정권 가운데 문 정부에서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이다. 노무현 정부 이래 역대 최고 증가 폭이다.
전체 GRDP에서 대구경북이 차지하는 비중이 문 정부를 거치면서 가장 많이 감소했다는 결과는 충격적이다. 2016년 9.21%에서 2020년 8.41%로 지난 정부 동안 0.80%p가 떨어진 것이다. 이명박(-0.34%p)·박근혜(-0.32%p)·노무현(-0.16%p) 등 이전 3개 정부에 비해 낙폭이 컸다.
윤석열 정부는 문 정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대선 공약으로 미국 연방제 수준의 자치분권을 제시하는 등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장밋빛 청사진을 내놨지만 무관심으로 일관했다. 임기 5년간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딱 한 번 참석했다고 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방시대를 내세우며 균형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윤 정부가 구호에 그쳤던 문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전략을 답습해서는 안 된다. 수도권 중심의 국가 운영은 지방 소멸을 촉진한다.
윤 대통령은 5일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혁신밸리를 찾아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했다. 전국 약 400개 권역의 농촌에 아이돌봄, 임대주택 등 생활 서비스도 확충해 살기 좋은 농촌을 만들겠다고 했다. 살기 좋은 농촌이 살기 좋은 지방을 앞당긴다. 청년들이 농촌을 찾고 농업에서 미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청년들이 농촌과 지방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정주 여건 개선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 구호에만 그치지 않고 제대로 된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지방 살리기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