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에서의 제왕절개, 자연분만 등 출산 비용이 최대 200만원 이상 차이가 나는 등 지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대병원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제왕절개 비용(비급여 및 본인부담금을 포함한 총액)의 평균액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대병원으로 469만2천원이었다.
이는 가장 낮은 강원대병원(283만7천원)에 비해 1.75배 비싸다. 두 병원간 진료비 차이는 212만5천원에 달했다.
경북대병원의 제왕절개 진료비는 389만5천원으로 전국 10곳 국립대병원 중 5번째 수준이었다.
올해 8월 기준 자연분만 진료비 평균 역시 서울대병원이 377만4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경북대병원의 자연분만 진료비는 서울대병원보다 143만3천원 낮은 234만1천원으로 국립대병원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환자가 지불하는 본인부담금도 국립대병원 간 편차가 컸다.
제왕절개 시 본인부담금이 가장 비싼 곳인 충북대병원(54만원)과 가장 낮은 강원대병원(30만6천원)은 23만4천원의 차이가 났다.
경북대병원의 제왕절개 본인부담금은 45만6천원으로 국립대병원 10곳 중 네 번째로 높았다.
자연분만 본인부담금의 경우 가장 높은 서울대병원(18만1천원)과 가장 낮은 충남대병원(3만원) 사이에 15만1천원의 비용 차이가 났다.
경북대병원의 자연분만 본인부담금은 3만6천원으로 집계돼 국립대병원 10곳 중 9번째로 집계됐다.
문정복 의원은 "초저출산에 따른 인구 절벽 위기 상황에서 병원별 본인부담금의 편차는 출산을 앞둔 가정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각 지역의 거점 공공의료를 책임져야 할 국립대병원의 출산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