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예비군 30만명 동원령'을 내린 뒤 징집을 피해 고국을 탈출한 러시아 남성들 일부가 한국까지 들어왔다.
10일(현지시각) 영국 가디언은 "동원령 이후 수만 명이 러시아를 탈출했고, 그 중 많은 사람들이 특이한 경로를 택했다"며 몇 가지 사례를 소개했다.
가디언은 BBC 러시아어 방송을 인용해 "지난달 27일 8명의 러시아 남성이 탄 요트가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나 한국으로 향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남성 8명을 태운 요트가 한국으로 출발했다.
이들은 당초 올해 말 여행을 떠날 계획이었으나, 동원령이 내려지자 여행 일정을 앞당겨 즉시 떠나기로 결정했다.
요트는 북한 영해를 크게 우회해야 해, 5일 뒤에야 한국에 도착할 수 있었다. 통상 배편으로 동해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는 약 21시간이 걸린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동원령 이후 접경국으로의 '탈출 러시'는 계속되고 있다. 자전거를 타고 러시아를 탈출한 남성도 있었다.
수도 모스크바에 사는 27세의 일리야는 동원령이 발표된 다음날인 지난달 22일, 친구로부터 중고 자전거를 샀다.
그는 자전거를 들고 러시아 서북단에 있는 무르만스크로 가는 침대 열차에 몸을 실었다.
무르만스크에서 노르웨이 국경 도시 키르케네스로 가기까지 241km 상당의 여정을 자전거로 이동했다.
일리야는 "다행히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에 철인 3종 경기를 위해 훈련하고 있었다"며 "훈련이 이렇게 도움이 될지 몰랐다"고 말했다.
그는 키르케네스에 위치한 공항 근처 호텔들은 오슬로행 비행기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인파로 만실 상태였다고 전했다.
러시아와 하늘길이 이어지는 터키, 아르메니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젠 항공권은 몇시간 만에 전량 매진됐고 현재 항공편 가격은 몇배 이상 치솟았다.
최근에는 경비행기나 제트기, 헬리콥터까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매체는 "러시아의 민간 보트 회사들은 흑해를 통해 튀르키예로 가는 배편을 제공하기도 했다"며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 반도에서 튀르키예까지 운항하는 쌍동선의 편도 객실 요금은 1400파운드(약 222만원)"라고 설명했다.
한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8개월째에 접어들면서, 지난달 21일(현지시간)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동원령'을 선포했다.
러시아 부분 동원령 대상은 군 경험이 있는 18~60세의 남성이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러시아가 지금까지 20만명을 동원한 것으로 추산하고, 일부는 벌써 전장에 투입돼 잡히거나 전사했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