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 여파로 한국전력과 국민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탈원전 및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면서도 임기 동안 한전의 전기요금 인상 요청을 뭉갠 것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월 정권 교체 후 한전은 부랴부랴 3차례에 걸쳐 총 17.9%의 전기요금 인상을 단행했지만, 올해 영업적자 30조원 돌파가 확실시되는 등 이른바 '탈원전 청구서'가 본격적으로 날아들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文정부 원전 발전량 감소분 LNG 대체 시 약 11조5천억원 손실
1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운천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전후의 원전 평균 이용률은 81.6%에서 71.5%로 약 10%포인트 감소했다. 원전 이용률 감소로 줄어든 발전량만큼 LNG로 대체했을 경우 약 11조5천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아울러 지난 정부에서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하지 않고 신한울 1‧2호기와 신고리 5호기 가동을 연기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연간 2조4천억원을 절감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탈원전과 함께 내세운 신재생에너지 정책으로 인해 한전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이행비용도 급증했다. 한전이 지난 5년간 RPS 이행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은 약 9조원이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 지출한 3조2천억원의 3배에 조금 못 미친다.
더욱이 문 정부 때 수립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향후 신재생에너지 계통 투자비용은 ▷2022년 5천933억원 ▷2023년 1조882억원 ▷2024년 1천976억원 ▷2025년 3천863억원 ▷2026~2030년 3조9천39억원 등 총 6조원가량 추가 투입될 예정이다.

◆ 원전 예방정비 후 승인 지연으로 원전 이용률 낮췄나
정운천 의원에 따르면 문 정부 임기 동안 원전 계획예방정비(OH) 일수가 1만1천708일에 달해 전임 박근혜 정부의 6천631일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원자력안전법 등에 따르면 원전은 연료교체 및 설비점검을 위해 예방정비를 받아야 한다. 다만 정비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승인을 받아야 가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정비를 마친 원전의 재가동 승인을 문 정부의 원안위에서 석연찮은 이유로 질질 끈 것이 발전량 감소로 직결됐다는 게 정 의원의 설명이다.
정 의원은 "문재인 정부 임기 동안 원전의 예방정비 일수가 대폭 늘어난 표면적인 이유는 '안전기준 강화'다. 하지만 원안위가 탈원전 및 친정권 성향의 위원들로 구성됐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은 만큼 과학적인 이유보다 정치적인 이유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설비용량이 같을 경우 원전의 발전량은 태양광의 5.7배에 달해 원전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전기요금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이 이날 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전 비중이 70.5%에 이르는 프랑스의 전기요금은 지난 6월 기준 kWh당 276.5원이었다. 반면 원전 비중이 17.5%인 영국과 12.4%인 독일은 각각 483.4원, 535.1원으로 프랑스보다 약 2배 많았다.

◆ 한전 적자 30조원 위기…文정부 전기료 인상 요구 뭉개
같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갑)이 조선일보에 단독으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문 정부 출범 초기 산업부 보고에 따라 탈원전 정책과 전기요금 인상을 동시에 추진했다면 한전이 적자를 보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18년부터 전기요금을 매년 2.6% 인상했을 경우 한전의 전력판매수입은 17조원가량 늘어나 흑자 기조가 현재까지 유지됐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임기 막판인 올 초 2.6% 인상을 단행했더라면 상반기 전력판매수입이 3조8249억원 늘어 같은 기간 14조3천33억원에 달했던 적자 규모가 10조4천604억원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추산됐다.
한전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2·3·4분기 세 차례에 걸쳐 총 17.9% 전기요금을 인상했지만, 올해 영업적자 규모는 30조원을 웃돌 것이 확실시된다.
한전은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인 5조8천60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당시 문 정부는 유럽발 에너지 위기를 적자 원인으로 지목했으나 탈원전 및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에도 전기요금을 인상하지 않은 '정책 모순' 탓이라는 게 양 의원의 분석이다.
정승일 한전 사장에 따르면 한전은 문 정부 임기 5년 동안 전기요금 인상을 10차례 요청했지만 단 한 번만 승인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양 의원은 "한전 적자 해소를 위해 내년부터 큰 폭의 요금인상이 예고된 가운데 앞서 지난 정부에서 단계적인 인상이 이뤄졌더라면 갑작스런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