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태풍 힌남노로 냉천이 범람하기 직전인 지난달 6일 새벽까지 포항제철소 내 공장을 가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태풍 전일인 5일 전 공장 가동을 중지했다는 국회 국정감사장 증언은 위증이라는 지적이다.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구미갑)은 14일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포항제철소 9월 한전 전력 사용량'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포항제철소는 태풍이 포항에 상륙한 지난달 6일 오전 0~7시 7시간 동안 전력 1천554㎿(시간당 222㎿)를 썼다. 태풍 하루 전날인 5일 24시간 동안 5천916㎿(시간당 246.5㎿)를 썼다는 점을 고려하면 평상시와 비슷한 사용량이다.
앞서 최정우 회장은 이달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기록적인 태풍이 온다는 소식에 일주일 전부터 자연재난대책본부를 가동했고 태풍 전일에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전 공장 가동을 중지하는 등 비상대책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도 "9월 5일 오전 9시와 오후 1시 (두 차례에 걸쳐) 제철소 최초로 21개 모든 압연 라인의 가동을 중단했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태풍 상륙 당일에도 평상시와 비슷한 전력을 사용한 만큼 국정감사에서 위증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르면 국회에서 허위진술을 했을 경우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진다.
포스코는 태풍 상륙 당일 한전 전력 외 자체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도 사용했다고 구자근 의원 측은 전했다. 포스코가 태풍 상륙 전날인 지난달 5일 오후 11시부터 자체 발전소 생산 전력 사용을 서서히 줄이긴 했지만 한전 전력 사용량을 상회했다.
이에 대해 구자근 의원은 "자체 발전소 가동이 없었다면 7시간 동안 1천554㎿를 사용한 것이 이해되지만 제철소 내 발전소 생산 전력까지 썼다면 새벽까지 공장을 가동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면서 "태풍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반면 포스코 측 입장은 다르다. 새벽 시간대 가동과 자체 발전소 전력 생산을 인정하면서도 이는 제철소의 연속 공정상 가동 중단까지 시간이 걸리는 데다 고로냉각수 펌프, 배수펌프, 조명 등 설비보호와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운영 전력 때문이라는 것. 또 국감 당시 최 회장의 답변, 제출자료상 기록된 시간 등은 태풍 전날인 지난달 5일 가동 중단에 대해 의사 결정이 이뤄졌다는 의미라는 해명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감에서 답변한 '태풍 전일 전 공장 가동 중단'은 가동 중단을 위해 고로 휴풍의 일환인 감광(철광석을 적게 넣는 것)에 착수했다는 의미인데 오해가 생긴 것 같다"며 "제철소는 6일 오전 2시부터 조업중단을 시작해 오전 5시 압연라인까지 모두 멈췄다. 태풍이 오기 전, 공장 가동을 모두 중단한 것은 맞다"고 주장했다.
포스코 측 해명에 대해 구자근 의원은 14일 "포스코라는 기업을 운영하는 최고 책임자가 국정감사장에서 오해 살 발언을 했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포스코의 사전 대응 조치가 제대로 됐는지 철저한 확인을 거쳐 진상을 파악해 나갈 것이다. 위증 문제도 별도로 추적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