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하종 신부 "김건희 여사 일행 2시간 열심히 설거지"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 페이스북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여름 무료급식소 봉사를 한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

15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는 지난 8월 31일 이탈리아 출신 김하종 신부(세례명 빈첸시오 보르도)가 운영하는 경기 성남시 소재 무료급식소 '안나의 집'을 찾아 설거지 봉사를 했다.

안나의 집은 매일 800명 안팎 홀몸 노인과 노숙인 등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곳이다.

이같은 사실은 김하종 신부가 이날 4시 6분쯤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건희 여사가 설거지 봉사를 하는 등의 사진 및 글을 올리면서 알려졌다.

김하종 신부는 페이스북 글에서 "며칠 전 봉사를 시작하기 위해 급식소로 내려가는데 안나의 집 건물 앞에 마스크를 쓴 여성 두 분, 건장한 남성 한 분이 나타나셨다. 그분들은 '봉사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으셨고 당연히 반갑게 급식소로 함께 내려갔다"고 당시 상황을 전하면서 "급식소에서 설거지를 위해 커다란 비닐 앞치마를 드렸고 그분들은 그 앞치마를 입으시고 2시간 동안 열심히 설거지를 하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묵묵히 성실하게 일하시는 그 봉사자들을 보며 기쁘고 반가운 마음으로 지켜봤었던 기억이 있다"고 떠올렸다.

김하종 신부는 이때까지만 해도 봉사자가 김건희 여사 일행이라는 사실을 몰랐다고도 전했다.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사진 왼쪽)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사진 왼쪽) 페이스북

그는 "봉사가 끝난 후 여성 한 분이 '신부님 차 한잔할 수 있을까요?'(라고 했다"며 "봉사가 끝났기 때문에 (봉사자들을)사무실로 모시고 가서 커피를 들며 마스크를 내렸다. 여성 한 분께서 '혹시 이분 누군지 아시나요?' 물어보셨다. (이에)'죄송하지만 전혀 모르겠습니다'라고 대답했는데, 김건희 영부인이라는 말씀을 듣고 순간 깜짝 놀라 아무 말도 나오지 않았다"고 떠올렸다.

김하종 신부는 "사회적 지위에 상관 없이 성실하고 겸손하게 봉사하셨기 때문에 참 반가웠다. 또 안나의 집 가출청소년들과 노숙인에 대해 많은 질문과 관심을 가져 주시고 봉사에 관한 체험,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놀랍고 기뻤다"며 "이야기 끝에는 저에게 기도해달라고 부탁하시고 그 날 급식소에서 일하는 모든 직원들을 불러서 고맙다고 인사드린 다음에 조용히 떠나셨다. 그날 저는 참 행복했다.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사진 왼쪽) 페이스북
김건희 여사의 무료급식소 봉사 사실을 전한 김하종 신부(사진 왼쪽) 페이스북

김하종 신부가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 가운데서는 김하종 신부가 김건희 여사의 머리에 손을 얹고 기도를 하는듯한 모습도 있었다.

김건희 여사는 '정인이 사건' 2주기를 앞둔 지난 12일 고인의 묘역이 있는 경기 양평 안데르센 메모리얼 파크를 소수 경호원 및 부속실 직원들과 함께 찾아 묘역 주변을 정돈하고 고인을 추모하기도 했다. 또 집중호우 때는 피해가 컸던 수도권을 중심으로 2주 동안 비공개 봉사활동을 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12일 양부모의 학대와 방치로 숨진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12일 양부모의 학대와 방치로 숨진 '정인이 사건' 2주기를 하루 앞두고 경기 양평 안데르센 메모리얼 파크를 찾아 고인을 추모하고 묘소 주변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12일 양부모의 학대와 방치로 숨진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12일 양부모의 학대와 방치로 숨진 '정인이 사건' 2주기를 하루 앞두고 경기 양평 안데르센 메모리얼 파크를 찾아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