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준금리 내년 상반기 최대 3.75% 갈수도…하나금융경영연구소 "경제 성장률 1.8% 예상"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로 인상한 지난 12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대출 관련 현수막이 붙어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로 인상한 지난 12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대출 관련 현수막이 붙어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물가 상승률 5%대면 금리인상 기조 이어갈 것"이라고 밝히며 11월에도 금리를 추가 인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국내 기준 금리가 내년 상반기 최대 3.75%까지 오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2023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부담 증대 및 경기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요국의 고강도 긴축, 물가·환율 안정의 필요성 등을 감안할 때 2023년에도 추가 금리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최종 기준금리를 3.75%로 예상했다.

단기금리는 내년 1/4분기에 기준금리 고점을 확인할 이후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급격히 상승한 원/달러 환율의 경우 내년 당반기 1천400원까지 하락한 뒤 내년 하반기 1천340원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대내외 불안요인들이 이어지면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위험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오현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내 수출 위축 및 서비스 적자 확대, 대외 불확실성 심화 등에 따른 외환시장의 변동성 위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내년 국내 성장률은 1.8%로 전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 정책적 리스크, 구조변화 리스크 등이 맞물리는 가운데 '3高(고물가‧고환율‧고금리)' 파급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성장률이 둔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세부적으로 민간소비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 부채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증가율은 2.2%(2022년 4.1% 추정)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의 경우 부동산 경기 위축, SOC 예산 감소, 자본조달비용 상승 등을 감안할 때 증가율은 1.4%(2022년 –1.6% 추정)로 전망됐다.

수출(통관 기준)의 경우 글로벌 성장 둔화 흐름 속에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품목들의 단가 하락,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둔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8.5%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지만 내년에는 오히려 –0.6%로 떨어진다는 것.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2023년에는 금융 혼란 가중과 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급망 재편 등 구조적인 변화 속에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이 2.6%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