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새 청약통장을 해지한 가입자가 3만4천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동산 하락장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내 집 마련 수요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2천696만 9천838명으로 확인됐다. 전달 대비 3만3천704명 줄어든 수치다.
지난 6월 2천703만1천911명이 가입해 정점을 찍었던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7월부터 석달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탈자 규모도 7월 1만2천658명, 8월 1만5천711명, 9월 3만3천704명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권역별로 서울지역 가입자 수는 622만8천151명으로 전월보다 1만161명 줄었다. 인천·경기지역은 880만1천867명으로 전월과 비교해 1만1천195명 축소됐다. 기타지역은 665만1146명으로 전월 대비 3027명 빠졌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하락장에 매수 심리가 얼어붙었고 분양가도 올라 담보대출이 막히면서 청약수요가 쪼그라들었다고 해석하고 있다. 청약통장을 내 집 마련의 가장 현실적인 디딤돌로 관심을 모았던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분위기다.
여기에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상품의 이자율은 오르고 있는데 청약통장 이자율은 제자리걸음 중인 점도 가입자 이탈을 유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시중은행 적금상품 금리는 연 5% 안팎이지만, 청약통장 금리는 연 1.8%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청약통장 이자율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청약통장 금리는 기획재정부와의 협의 및 규제 심사 등 절차를 거쳐 국토부 장관이 고시해 변경할 수 있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주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하며 "청약통장은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가지고 있어 '국민적금'이나 다름이 없다"라며 "청약저축의 이자율이 최소한 기준금리 인상분만큼은 상승해야 국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완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