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채권시장 비상] 자금시장에 50조원+α 유동성 공급

회사채·CP매입한도 16조원으로 ↑…유동성 부족 증권사 3조원 지원
추경호 "모든 지자체 ABCP 보증의무 이행 확약"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과 한국은행 총재를 비롯한 경제 관련 부처장들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마친 뒤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추 경제부총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과 한국은행 총재를 비롯한 경제 관련 부처장들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마친 뒤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추 경제부총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연합뉴스

급격한 금리 상승과 레고랜드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로 자금시장 경색이 확산되자, 정부가 50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2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시장 안정방안을 논의했다.

추경호 부총리는 회의 후 "최근 회사채 시장·단기 금융시장의 불안심리 확산과 유동성 위축을 방지하려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 플러스알파(+α) 규모로 확대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가동하는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은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20조원,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지원 10조원 등이다.

김주현 위원장은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 때문에 시장과 대화하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이라며 "자체 모니터링을 해왔지만 최근 강원도 사태 등 생각하지 못한 돌발 변수에 민감하니 거기에 신속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채안펀드의 1조6천억원 규모 가용재원을 우선 활용해 24일부터 시공사 보증 PF-ABCP 등 회사채·CP 매입을 재개하기로 했다. 추가 자금 조성을 위한 '캐피탈콜'(펀드 자금 요청)도 즉시 시작해 내달 초까지 완료한다.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매입한도는 기존 8조원에서 16조원으로 올린다. 산은·기은의 매입 프로그램 잔여 매입여력은 5조5천억원에서 10조원으로 늘리고 부동산 PF-ABCP 관련 시장 불안 안정을 위해 금융회사가 발행한 CP도 매입대상에 포함한다.

PF-ABCP 차환 어려움 등으로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에 대해서는 한국증권금융이 자체 재원을 활용해 이르면 이번 주부터 3조원 규모 유동성을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는 지방자치단체가 보증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이행한다고 강조했다. 레고랜드 사업 주체인 강원도가 ABCP에 대한 보증 이행을 거부하면서 발생한 신용 경색 상황에서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추 부총리는 "지자체 보증 ABCP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예정임을 다시 한번 확약드린다"고 강조했다.

시장 불안을 조성하는 교란행위와 악성 루머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복현 원장은 "금감원이 금융기관들의 건전성이나 유동성과 관련한 정보를 잘 챙기고 있다"며 "몇 가지 이슈는 허위사실을 유포한 시장교란적 성격이 강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