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파하고, 낡은 갱목 처리하고, 철 갱목 설치하고, 돌 실어 내고, 레일 깔고…."
지난 26일 오후 6시쯤 경북 봉화군 재산면 갈산리의 아연 채굴 광산에서 작업자 2명이 연락 두절된 구조 현장은 조기 구조를 바라는 가족들의 애타는 목소리와 광산 구조대원들의 비지땀, 구조 장비 소리가 뒤 섞여 온통 아수라장이었다.
"어떻게 좀 빨리 구조할 수 없나요. 저 밑에서 얼마나 떨고 있겠어요. 작업 시간을 당길 수는 없나요. 살아있겠지요. 생사 확인이라도 됐으면…." 구조 작업을 지켜보던 매몰자 가족들이 비통한 심정으로 빠른 구조를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사고 지점인 제1 수직 갱도 지하 190m, 수평 거리 70m 지점까지 구조대원들의 접근이 쉽지 않아 진입로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사고는 제1수갱 하부 46m 지점에서 갑자기 밀려 들어온 펄(샌드 토사물) 약 300∼900t(업체 측 추정값)이 수직 갱도 아래로 쏟아지며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 A씨(56), B씨(62) 등 2명이 광산 아래에 갇히며, 연락이 두절됐다.

사고 당시 7명이 갱도 레일 설치 등 굴진(掘進, 굴 모양으로 땅을 파 들어가는 것) 작업을 위해 광산 지하로 들어갔다가 2명은 사고 발생 직후 지하 30m 지점에서 이상 신호를 감지하고 26일 오후 8시쯤 자력으로 탈출했고 나머지 작업자 3명은 힙쓸려 내려간 갱도 안에 갇혔다가, 업체 측의 구조로 26일 오후 11시쯤 제 1수직갱도 지하 90m 지점에서 발견돼, 제 2수직갱도를 통해 무사히 구조됐다.
그러나 업체 측이 연락이 두절된 작업자 2명을 추가로 구조하려다 실패하면서 27일 오전 8시 34분쯤 소방당국에 신고해 늑장 대처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처음에는 자체적으로 구조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밤샘 구조작업을 벌이다보니 신고할 경황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사고 이틀째인 28일 현재 구조 당국은 제2 수직갱도 지하 140m, 수평 130m 지점에서 암석을 제거하며 사고 장소로 접근하며 수색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구조작업이 진행중인 제2 수직갱도는 1988년에 설치한 갱도로 광물 채취 작업이 완료돼 폐쇄된 갱도지만 다행히 사용이 가능해 진입로 확보 작업이 진행중이다.
수색에는 소방관 46명과 광산구조대원 48명, 경찰 6명 등 구조 인력 135명과 장비 29대가 동원됐다.
구조 가능한 지점까지 도달하는데 최소 2박 3일이 걸릴 것으로 소방당국과 업체 측은 내다봤다.
윤영돈 경북 봉화소방서장은 "당장 생사는 확인되지 않지만, 지하에 여러 개 통로가 있어 고립된 작업자들이 생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