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대통령 "우수 연구자 확보 막았던 공공연구기관 블라인드 채용 폐지"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참석,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참석,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공정 채용을 목적으로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의 출신 지역과 학력 등을 노출하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 제도'에 대해 "최근 몇 년 동안 우수 연구자 확보를 가로막았다"고 비판하며 공공 연구기관에 우선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위원회에서도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발전전략과 함께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블라인드 채용 폐지가 공정 채용 제도의 목적을 훼손하는 게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는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것일 뿐 공정성 훼손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 언론을 통해 "연구기관이 지도교수나 연구실적 등을 채용과정에서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우수한 인력을 뽑는데 문제가 됐다"며 "과학기술이 국가경쟁력 핵심이니까 우수인재들을 개발해 국가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맥락이다.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장관 후보자 시절 국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과학기술 연구기관은 연구 인력의 자질과 역량에 따라 경쟁력이 판가름 나고, 해외 유수 기관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인재 채용 시 해당 분야의 성과와 잠재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며 "블라인드 채용 제도에선 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과학기술이 경제와 산업 성장의 원천이라는 입장을 내비치며 "메모리를 이을 차세대 반도체 기술, 인공지능, 모빌리티, 우주항공, 원자력, 양자컴퓨팅 등 12개 국가전략기술이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수 있도록 집중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개발(R&D)에 향후 5년간 25조원 이상을 투자해 초일류·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민·관 합동으로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를 추진해 확실한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