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9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7월 이후 두 달만 세 지표 모두 감소세…대구는 소비 줄고 생산 늘어
통계청 "광공업 부진, 소매판매 등 조정…경기회복 흐름 약화"

9월 대구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9월 대구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9월 전국 생산, 소비, 투자가 일제히 줄면서 '트리플 감소'를 기록한 가운데, 대구지역은 소비가 줄고 생산은 증가했다. 태풍 힌남노 피해와 반도체 업황 부진 등으로 산업 생산이 석 달째 줄면서 경기 개선 흐름이 약해졌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전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0(2015년=100)으로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7월(-0.2%), 8월(-0.1%)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1.8%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은 광업(3.5%)에서 늘었으나 제조업(-1.8%)과 전기·가스업(-2.4%)에서 줄었다. 제조업은 1차 금속(-15.7%), 반도체(-4.5%), 자동차(-3.5%) 등에서 줄면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면 대구지역 생산은 늘었다.

같은날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대구 광공업생산지수는 103.1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5.3% 늘었다. 전월 대비로는 3.3%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광학(72.1%), 자동차(28.2%), 기계장비(15.6%) 등에서 생산이 늘었다. 경북의 9월 광공업생산지수는 74.4로 전년 동기 대비 5.5% 감소, 전월 대비 12.1% 떨어졌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20.8(2015년=100)로 1.8% 감소했다.

소비는 3월(-0.7%)부터 7월(-0.4%)까지 5개월 연속으로 감소하다가 8월 반등에 성공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은 이른 추석(9월 10일)을 앞두고 지난 8월에 명절 선물, 음식료품 수요가 몰렸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대구경북 역시 소비가 줄었다. 대구와 경북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각각 107.8, 84.6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9.6%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설비 등 기계류 투자가 줄면서 전월보다 2.4% 줄었다. 대구 건설수주액은 9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6% 줄었다. 같은 기간 경북 건설수주액은 8천88억원으로 10%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생산·소비·투자가 함께 감소한 것은 지난 7월 이후 두 달 만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광공업 생산이 부진했고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 판매, 설비투자 등 내수도 조정을 받으면서 생산과 지출이 모두 감소했다"며 "경기 회복과 개선 흐름이 다소 약화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