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태원 압사 참사' 사고가 일어나기 전부터 위험 신호가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경찰이 현장 판단을 제대로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1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큰 틀 차원의 구조적인 문제, 법적, 제도적인 미비점을 보강을 해야 된다는 것도 문제지만, 당시 현장에서 있었던 경찰관들이 제대로만 판단을 했더라도 이런 일을 방지할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장 소장은 "참사가 일어나기 1시간 전 쯤에 당시 파출소에 가서 한 인터넷 방송인이 '사고 날 것 같다. 사람들이 너무 뒤엉키고 밀려서 큰일났다'고 했더니 경찰이 '저희들도 거기 지금 못 들어가요. 너무 혼잡해서 못 들어가요'라고 말했다고 한다"고 했다.
한 시간 전쯤 인근 파출소에 '사고가 날 것 같다'는 신고가 있었음에도 제대로 된 판단과 대응이 미비했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장 소장은 "(경찰은) 상부에 보고를 하고 현장에 있던 경찰관들은 거기 한번 나가봐야한다. 정말 상황이 얼마나 더 심각해졌는지"라고 했다.
아울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경찰이나 소방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가 아니었다'는 발언과 관련해선 "가장 먼저 했어야 될 얘기는 미안하다는 얘기였다"고 지적했다.
장 소장은 "행안부 장관의 저 발언을 듣고 좌절감을 느꼈다. 행안부 장관은 재난관리 주무장관이다"면서 "헌법 7조 1항에 '공무원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해 책임을 진다'라고 돼 있다. 그런데 저 발언은 책임이 없다는 말"이라고 했다.
그는 "(이 장관이)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하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처음부터 책임 있게 규명하겠다, 이 얘기를 했어야 된다"며 "저렇게 책임 회피성 발언부터 꺼내놨다는 것 자체가 과연 저분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총괄하는 그런 안전 컨트롤타워로서의 자질과 역할, 책임감이 있는지 의문스럽다"면서 "놀라운 건 누구도 사과하는 책임 있는 당국자가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사고 현장을 비추는 폐쇄회로 (CC)TV에 대한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왔다.
박원석 정의당 전 정책위의장은 '거기(현장)에 안 나가봐도 알 수 있는 게 있었다. CCTV다'라는 진행자의 지적에 "말씀하신 대로 24시간 길거리를 비추는 CCTV고 용산 관제센터에서도 그 CCTV를 다 실시간으로 볼 수가 있다"고 말했다.
박 전 정책위의장은 "용산 관제센터에는 경찰관 한 명이 파견돼서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범죄나 위험상황에 대비하도록 돼 있다. 인파가 몰려서 혼란이 발생하고 사고의 위험이 커졌는데도 그 CCTV로 그걸 보면서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던 책임을 묻고 밝혀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안전관리매뉴얼 상 주최자가 불분명한 행사는 경찰이 직접 나서서, 혹은 구청이 직접 나서서 통제(하기 곤란하다)… 이런 변명을 대는데 경찰관 집무집행법에 따르면 비상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면서 "그렇게 인파가 몰려서 위험이 인지됐을 때 즉각적인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돼 있는데 (통제를 할) 법적 근거가 없는 게 아니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