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 매천동 농수산물 도매시장(매천시장)이 화재 발생 후 1주일을 넘기면서 거래 물량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서서히 안정을 되찾고 있다.
그러나 전기 인입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데다 통신 시설 개통까지는 닷새 이상 걸릴 전망이어서 상인들의 원성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2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매천시장 거래 실적은 1천86톤(t)으로 화재 이전 평균 거래 실적 대비 105%를 기록했다. 이는 화재 발생 다음날인 같은달 26일 거래된 538t(평균 거래 실적 대비 52%)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매천시장은 우리나라 남과 북을 잇는 거점형 도매시장으로 서울, 경기를 제외한 비수도권 도매시장 가운데에서는 가장 거래 규모가 크다.
사고 직후 대구시는 화마를 피한 농산 A동 북편 경매장을 대체 경매장으로 활용해 출하된 농산물을 유통했다.
이어 농산 A동과 관련 상가 사이의 주차장 부지와 중앙청과 동편 주차장 일부에 몽골천막 77개를 설치, 임시 경매장 및 임시 점포로 사용하고 있다.
도매법인과 중도매인 등 유통 종사자들도 산지 출하처와 거래처에 일일이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유선으로 연락해 물량 반·출입 일정을 조절하는 등 유통 물량 확보에 힘을 쏟았다.
대구시는 농산 A동 지하 변전실의 전기 설비 안전을 점검한데 이어 임시 점포의 전기 인입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한전 및 KT와 협업해 장애 발생 민원 처리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전기 및 통신 시설을 개별 점포까지 연결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행정안전부에서 지원받은 특별교부세 10억원을 화재 현장 복구와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한 안전 대책 마련 등 각종 시설물 응급 복구에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원활한 영업 지원을 위해 지게차 충전소 1곳을 설치한데 이어 2곳을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한 오는 8일까지 임시 점포 인근에 통신시설 불편 사항 접수 창구도 설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임시 개별 점포의 전기 인입 작업이 아직 끝나지 않은데다 통신시설은 오는 7일 완료될 전망이어서 상인들의 불편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상인 A(63) 씨는 "전기 설비 설치가 여전히 안돼 일부 도매법인이 소속 상인들이 전자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자가발전기를 돌리고 있다"며 "임시 점포에는 농산품 재고를 보관할 저장고나 장소가 없어 상품 품질이 계속 저하된다. 경매 낙찰가도 계속 내리는데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상인 B(35) 씨는 "임시 점포가 주차장에 자리잡다보니 고객의 큰 차량이나 농산물 운반 차량이 들어올 공간이 아주 부족하다"면서 "도매법인마다 소속 상인들에 대한 지원이 제각각인데 대구시가 일괄적으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게 낫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