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경찰 중 바쁘게 일하지 않은 이 없습니다. PTSD(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트라우마 치료 받아야 한다지만 신경쓸 겨를도 없이 당장 징계 받을까, 잘릴까 걱정에 잠 못 이루고 있습니다."
지난 2일 직장인 온라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이태원파출소 경찰 가족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자신을 이태원파출소 근무 경찰의 가족이라고 소개하며 "여론을 보니 당시 (이태원)파출소 근무자들 책임으로 돌리려는 분위기가 강하다"며 "말단 직원들 탓으로 돌리고 문책해서 다시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하고 치워버리려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그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제 가족을 포함한 당시 근무 경찰 중 바쁘게 일하지 않은 경찰은 아무도 없었다고 한다"며 "다만 인력이 없어서 대응을 충분히 하지 못했을 뿐"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러면서 "기동대에 출동 요청을 계속했지만, 윗선에서 무시당했다. 얼굴도 모르는 사복 경찰까지도 지원 나가라고 했을 정도였다"며 "밤새 심폐소생술하고 사람 한 명이라도 더 살리려고 고생했으나, 정착 경찰 너희 때문에 사고 난 거라고 하니 얼마나 마음 아픈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특히 그는 "현장에 계셨던 경찰관, 소방관분들 PTSD 트라우마 치료받아야 한다더라. 하지만 제 가족은 PTSD 신경 쓸 겨를도 없다"며 "당장 징계받지는 않을까, 혹시 이러다 잘리면 어떡하나 걱정에 잠을 못 이룬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직장인들도 다 알지요? 회사에 문제가 생기면 위에서 책임지기 싫어서 말단 꼬리 자르기부터 하는 것"이라며 "나는 최선을 다해서 윗선 지시대로 일했는데 막상 문제가 생기고 나니 내 탓이라며 나부터 징계받고 잘린다고 생각해봐라. 너무 억울하고 원통하다"고 덧붙였다.
블라인드에는 경찰 내부망에 올라온 이태원파출소 직원이 쓴 글이라는 설명과 함께 참사 당시 근무 상황을 전한 글도 소개됐다.
해당 글에는 "평소 야간근무 인원 10명 초반인 이태원파출소에서 사건 당일 비번 근무자까지 동원해 30명 정도 근무했다"먀 "당일 야간에만 112 신고건수 400건 이상으로 감당 불가능한 수준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항상 모든 비난은 현장 경찰관이 받아야 하는가"라며 "대책을 세우지 않은 행안부, 서울시, 용산구청, 경찰청 경비국의 잘못이지 않나"라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