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 내일 '봉화 광산사고' 현장 합동감식…안전조치 여부 등 조사

전담수사팀·과학수사 부서, 동부광산안전사무소 등 참여
쏟아진 토사 시료채취, 성분 분석…'광물찌꺼기 매립'도 살펴볼 예정

경북 봉화 아연광산에서 사고발생 10일만에 극적으로 구조된 광부 2명이 치료를 받기 위해 안동병원으로 들어오고 있다. 윤영민 기자
경북 봉화 아연광산에서 사고발생 10일만에 극적으로 구조된 광부 2명이 치료를 받기 위해 안동병원으로 들어오고 있다. 윤영민 기자

경찰이 경북 봉화군 아연광산 매몰사고 원인을 밝히고자 관계당국과 현장 합동감식에 나선다.

경북경찰청은 오는 7일 오후 광산 사고 전담수사팀과 경북청 과학수사과, 산업통상자원부 동부광산안전사무소가 함께 사고 광산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벌인다고 6일 밝혔다.

경찰은 광산 구조도를 확보하고, 갱도 내로 쏟아진 '펄'(토사) 시료를 채취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에 성분 분석을 의뢰할 방침이다.

동부광산안전사무소 측에 따르면 광산 구조나 일대 펄 종류에 따라 갱도 안전 확보 방법과 규정이 다를 수 있다.

경찰은 이를 고려해 광산업체가 그간 작업 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했는지 살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수사 상황에 따라 국과수와 함께 추가 현장 감식에 나설 수도 있다.

경찰은 또 광산업체가 지금껏 받은 행정처분 이력 등을 두루 검토하고서 앞서 지적받은 문제를 제대로 개선했는지 등 여부도 살필 것으로 알려졌다.

실종된 광부 구조 작업에 성공한 소방당국이 지난 5일 오전 9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실종된 광부 구조 작업에 성공한 소방당국이 지난 5일 오전 9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앞서 경북경찰청은 지난달 26일 광산 매몰로 고립됐던 작업 반장 박정하(62) 씨와 동료 광부 박모(56) 씨가 221시간 만인 지난 4일 구조되자 다음날인 5일 "사고 원인 규명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경북경찰청은 3개 팀, 수사관 18명을 투입해 전담수사팀을 꾸렸다.

경찰은 매몰 사고 당시 탈출한 동료 작업자 5명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당시 상황 등을 파악할 계획이다. 이후 광산업체 간부 등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광산업체 내부에서는 업체 측이 불법 매립한 광물 찌꺼기가 갱도로 유입된 탓에 사고가 났다는 의혹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업체 측은 허가받은 광미장(돌가루를 모아 두는 장소)이 있고, 슬라임(끈적끈적한 형태의 폐기물)은 다 거기로 보내고 있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수사 당국은 이런 의혹에 대해서도 규명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