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은 대구가 자랑하는 문화 축제다. 2005년 대구 최초의 장기공연 '맘마미아'의 흥행 이후 뮤지컬을 '블루오션' 장르로 인식, 집중적으로 키우면서 2007년 DIMF가 첫발을 디뎠다.

이제 DIMF는 한국 뮤지컬 산업을 선도하는 행사가 됐다. 대본, 음악 공모를 통해 신작 뮤지컬 무대화를 지원하는 'DIMF 창작지원사업'은 국내 최초로 시작돼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사업. 매년 4~5개의 신작 뮤지컬 제작을 지원(16년 간 72개 작품)했고 뮤지컬 창작자 및 제작자에게 최고의 '테스트베드'로서 각광받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창작 산실'과 CJ E&M에서 운영하는 'CJ 마인즈' 등 창작 뮤지컬 발굴 사업들도 DIMF 이후 생겨난 사업들이다. 이렇게 대본과 음원만으로 신작 뮤지컬 개발을 지원하는 'DIMF 창작지원사업'은 DIMF가 한국 뮤지컬의 활성화를 위해 펼쳐온 대표적인, 미래 주도적 사업이다.
국내 뮤지컬 산업에서 DIMF가 선제적으로 사업을 펼쳐 모범 사례가 된 게 또 있다. 뮤지컬 전공 대학생들의 글로벌 경연 무대인 'DIMF 대학생뮤지컬페스티벌(이하 대뮤페)'이 그것이다.
'대뮤페'는 뮤지컬 전공 대학생들이 뮤지컬 전막 공연을 관객 앞에서 펼치는 프로그램. 세계적인 명작 뮤지컬과 한국 창작뮤지컬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무료로 관람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은 만큼 뮤지컬의 대중화를 이끄는 일등 공신이기도 하다.
해외 교류 사업도 벌이고 있다. DIMF는 NYMF(뉴욕뮤지컬시어터페스티벌)와 업무 협약을 맺고 DIMF 창작지원작인 '마이 스케어리 걸', '스페셜 레터' 등 두 작품을 뉴욕 브로드웨이에 진출시킨 바 있다. '투란도트', '애프터 라이프' 등 자체 개발한 콘텐츠도 인기다.
뮤지컬 인재도 적극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2015년부터 시작한 'DIMF 뮤지컬아카데미'는 지난 7년 간 모두 351명의 교육생이 거쳐 갔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뮤지컬 전 과정을 아우르는, 유일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