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기업 10곳 중 4곳 “화물연대 파업으로 직접 피해”

대구상의 설문조사…생산차질, 배송차질 등 피해 나타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의 총파업으로 지난 29일 대구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이 멈춰 서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의 총파업으로 지난 29일 대구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이 멈춰 서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화물연대 파업으로 대구 기업 10곳 중 4곳은 직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대구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역기업 152개사(제조업 113, 건설업 23, 유통·서비스업 16개사) 중 60곳(39.5%)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고 답했고, 92곳(60.5%)은 간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다고 응답했다.

피해 유형으로는 원부자재 수급 지연에 따른 생산차질(46.1%)이 가장 많았고, 배송차질(34.9%), 수출지연(19.7%), 공사 중단·연기(5.9%), 기타(5.3%) 등이었다.

지역 한 철강 제조업체 관계자는 "부산항에서 대구 공장까지 철강코일 운반이 중단돼 2억원 정도 피해가 예상되나 뚜렷한 대책은 없는 상황"이라고 했고, 금속부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파업이 월말 납품시기와 맞물리면서 지방 배송이 너무 지체되고 있다. 웃돈을 줘서 납품하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지역 한 건설업 대표는 "레미콘 수급 지연에 따른 자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납기일이 지연되고 있다"며 "직·간접적인 손해가 예상되고, 아직 피해 비용은 산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지역기업들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영향을 받고 있으면서도 별다른 대책 마련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 중 37.1%는 파업에도 대책 없이 관망 중이라고 답했다. 일정을 연기하거나 조정했다는 응답이 23.2%, 직접 배송에 나서고 있다는 응답이 16.6%로 나왔다.

한편 이번 파업의 원인인 안전운임제에 대해서 지역기업 10곳 중 4곳(43.4%)은 정부의 '3년 연장안'에 동의한다는 입장이었다. '현행대로 올해 종료해야 한다'(23.7%)거나 '판단하기 어렵다'(19.7%), '안전운임제를 영구화해야 한다'(11.9%)는 의견도 있었다.

이에 대해 지역 한 제지 제조업체 관계자는 "어떤 일이 있어도 물류를 담보해 파업하는 불법 행위는 용납될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시멘트 유통업체 관계자는 "적정 운송료를 보장하는 안전운임은 지지하지만, 품목 확대는 정형화가 가능한 품목만 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의견을 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