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검찰에 출석한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2시간가량 조사를 받은 가운데 조사 과정에서 국정원 보고서의 삭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됐다고 주장했다.
박 전 원장은 14일 밤 10시 32분쯤 검찰 조사를 마친 뒤 "전부터 국정원에는 '삭제'라는 게 원천적으로 존재하지 못한다고 얘기했었는데, 오늘 수사를 하면서 보니까 삭제가 되더라"라며 "중대한 사실을 이번에 알았다"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모든 국정원의 문건은 메인 서버에 기록이 남아 완전히 삭제하는 건 불가하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자신의 주장이 틀렸음을 이날 수사를 통해 알았다고 말한 것이다.
다만 보고서 삭제 지시를 받지도 하지도 않았다는 주장은 이어갔다.
사건 당시 실제로 삭제된 문서가 있었던 것이냐는 질문에 박 전 원장은 "구체적으로 답변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직원들에게 삭제 지시를 하지 않았고, (당시에는) 삭제라는 것을 알지도 못했다"며 "문재인 전 대통령이나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삭제 지시를 받지도 않았다"고 강조했다.
국정원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 씨가 북한군에 피살된 후 이를 은폐할 목적으로 관련 보고서를 무단 삭제한 혐의로 박 전 원장을 고발했다.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씨 피격 다음 날인 2020년 9월 23일 새벽 1시 관계 장관회의가 열린 뒤 첩보 보고서 등 46건의 자료를 무단 삭제했다.
검찰은 이 회의에서 박 전 원장이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보안 유지' 지시를 받고 국정원에 첩보 보고서 46건의 삭제를 지시한 걸로 의심하고 있다.
한편 이씨 유족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직무유기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다만 검찰이 서 전 실장을 최종 결정권자로 지목했고, 이원석 검찰총장 역시 전직 대통령에 대한 조사에 '절제하고 있다'고 언급한 만큼 문 전 대통령 직접 조사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1천명 구출, 한국은 뒷북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