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외된 이방인 고려인들] <상> 경북 4843명 거주…5년새 2.5배 급증

경기도, 광주시 정착지원금 등 지원…경북, 통상적 외국인 지원외 전무

한국을 찾는 고려인들이 증가하며 2021년 전국 7만8천325명, 경북 4천843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 2016년에 비해 전국은 37%, 경북은 2.5배 증가한 수치다. 이영광 기자
한국을 찾는 고려인들이 증가하며 2021년 전국 7만8천325명, 경북 4천843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 2016년에 비해 전국은 37%, 경북은 2.5배 증가한 수치다. 이영광 기자
경북의 경우 경주에 고려인의 약 90%가 살고 있으며, 경산, 영천, 구미, 영주, 고령의 순으로 고려인들이 흩어져 살고 있다. 이영광 기자
경북의 경우 경주에 고려인의 약 90%가 살고 있으며, 경산, 영천, 구미, 영주, 고령의 순으로 고려인들이 흩어져 살고 있다. 이영광 기자

삶의 터전에서 강제로 추방된 한민족인 '고려인'. 뿌리를 찾아 한국을 오는 고려인은 곧 1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역소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같은 뿌리를 가진 고려인들을 더이상 시혜적 대상으로만 봐서는 안된다. 적절한 지원을 통해 고려인들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고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경북에 정착을 위해 이주하는 고려인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관심 부족으로 지역에서 살고 있는 고려인들의 삶은 힘겹기만 하다. 다문화 관련 전문가들은 고려인들의 안정적 정착을 돕기 위해 맞춤형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고려인들이 한국을 찾는 수는 해마다 늘고 있다. 전국은 지난 2016년 4만9천392명에서 2021년 7만8천325명으로 5년새 37%가 증가했다. 경상북도는 2016년 1천917명에서 2021년 4천843명으로 2.5배 늘었다. 경북의 경우 총 4천843명 중 4천332명(89.4%)이 경주에 밀집돼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고려인의 숫자에 비해 이들에 대한 사회의 관심은 비례하지 않는다.

경북행복재단에 따르면 경북은 경기도, 광주광역시 등과 달리 통상적인 외국인 지원사업에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특화된 고려인 사업을 찾아보기 어렵다.

경기도는 2022년 고려인동포 정착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정착지원 2억원, 인식개선 6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지원했다.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먼저 고려인 주민 지원 조례를 제정한 광주시는 고려인마을을 통해서 자녀돌봄, 한국어 교육, 종합상담 등 9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반면 경북도는 지난 2019년 '경상북도 고려인 주민 지원 조례'를 마련하고, 올해 경북도와 경주시가 고려인 맞춤형 사업의 일환으로 '고려인주민 자녀맞춤형 돌봄사업'을 추진했지만 결국 시행되지 못했다.

또한 경주시는 외국인 지원사업으로 총 2억8천만원 사업비로 7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 고려인이 참여할 수 있는 정도일 뿐 고려인에게 특화된 지원사업은 없다.

고려인 2, 3세들이 멀리 떨어진 한국으로 희망을 품고 찾지만, 냉담한 반응과 부족한 정착 지원으로 상처만 입고 있는 것이다.

손능수 경북행복재단 선임연구원은 "지난달 실시된 경북 고려인 실태 정책토론회에서 많은 고려인들이 지원 부족과 차별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정착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드러났다"며 "고려인들이 대도시보다 중소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경상북도와 지자체들은 인구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정착 지원을 적극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북행복재단은 지난 5월 고려인들을 대상으로 고려인 인식, 실태, 요구제안 등에 대해 심층면접을 진행했고, 심층면접 내용을 토대로 지난 11월 정책토론회를 실시했다. 경북행복재단 제공
경북행복재단은 지난 5월 고려인들을 대상으로 고려인 인식, 실태, 요구제안 등에 대해 심층면접을 진행했고, 심층면접 내용을 토대로 지난 11월 정책토론회를 실시했다. 경북행복재단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