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을 지원하는 '반도체 특별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누더기가 되고 말았다. 지난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개정안에는 대기업이 반도체 등 국가 첨단 전략산업에 시설 투자하는 경우 투자 금액의 8%를 세금에서 공제하는 내용이 담겼다. 기존 세액공제율은 대기업 6%,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였다. 중견·중소기업 세액공제율을 그대로 둔 채 대기업만 2%포인트 높이는 데 그쳤다.
이는 당초 논의됐던 수준에 한참 못 미치는 결과여서 업계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국민의힘은 설비투자액 대비 세액공제 비율을 대기업은 6%에서 20%로, 중견기업은 8%에서 25%로 올리자고 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대기업 특혜'라며 각각 10%와 15%를 제시했다. 기획재정부는 여당안이 통과되면 2024년 법인세 세수가 2조6천970억 원 감소할 것이라며 난색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결국 4개월에 걸친 다툼 끝에 용두사미로 결론이 났다.
국회 다수 의석을 앞세운 민주당의 횡포도 문제이거니와 당초 안보다 못한 'K칩스법'을 만든 여당과 정부 책임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미래 산업 주도권을 확보한 뒤에 세수를 늘릴 수 있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풀지 못한 정부의 단견이 아쉽다. 이러려고 법을 개정한 것인지 개탄이 절로 나온다.
세액공제율 8%는 경쟁국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미국은 지난 8월 공포된 반도체과학법을 통해 설비투자 기업에 세액을 25% 감면해 주고 있고, 대만은 기업의 R&D(연구개발)·설비투자 세액공제율을 15%에서 25%로 높이는 개정안을 발의했다. 글로벌 스탠더드가 25%인 것을 감안하면 8%는 전진이 아니라 후퇴라고 봐야 한다. 반도체 라인 하나를 짓는 데 20조 원가량이 들어가는데, 이를 단순 계산하면 한국 기업이 6개 라인을 지을 때 해외 경쟁 기업(25% 세액공제 적용)은 7개 라인을 신설할 수 있는 셈이다. 다른 나라들은 뛰는데 한국은 뒷걸음질하는 마당에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